신데렐라 최진실의 신화의 탄생과 비극

싱그럽고 재기 발랄했던 배우 최진실의 상징 그녀의 전성기이자 국가의 대 변혁기를 맞은 1990년대다. 우리나라 역사상 88올림픽을 성공적으로 이끌면서 정치적으로도 노태우 정권 마지막 군부시대를 넘어 김영삼의 문민정부로 들어서는 민주주의 열망이 서서히 열매를 맺기 시작하던 시절과 맞물리는 소비의 시대로 상징하던 시대였다.

최진실이란 배우를 통해 과거의 시간을 거슬러 추억했다. 그러나 슬픔은 어쩔 수가 없다.

올해 여름 mbc 예능 인기프로그램에서 1990년대를 상징하던 과거의 프로젝트를 컨셉으로 “토토가” 라는 한주의 코너가 진행되었다. 과거의 추억으로 회귀하여 그 당시 유행했던 의상과 노래, 가수를 총집합시켜 들려주는 코너로 시청자에게 많은 찬사와 즐거움을 선사했었던 기억이 있었다. 난 유행가에 유행이란 말을 크게 좋아하지 않았다. 그저 모든 것이 흘러가는 것이란 뜻에서 노래역시 대중가요의 가벼운 음악정도로 무게감 없이 느꼈었다. 그러나 어느 순간 유행가의 존재란 추억을 먹고 살게 하는 귀한 이름이란 것을 느꼈다. 고3인 아들이 내가 살아온 8~90년도에 유행하던 음악을 리메이크한 것을 종종 듣는다. 학교로 데려다 줄때면 어김없이 틀어놓고 감상을 한다. 곁에서 함께 들을 때면 나만의 추억이 있어 미소를 지으며 아이와 대화를 하곤 한다. 유행가의 힘이 그것이다.

마치 철지난 유행가처럼 최진실 그녀의 존재는 우리국민 정서에 없어서는 안 되는 소중한 1990년대 추억의 자산이기도 했다. 그러나 그녀는 없다. 그래서 더 아프고 슬프다.

이 책은 그녀의 출생에서 죽음까지의 모든 것을 담은 또 하나의 인간 드라마의 역할을 했다

문화 다 라는 웹진은 대중문화의 다양한 현상을 포착, 소통을 꿈꾸며 2012년에 만들어진 비판적 문화공동체의 역할을 담당하는 곳으로써 자살을 선택할 수 밖에 없었던 안타까운 인기연예인들의 사연을 담아 낼 다양한 도서를 준비 중에 있다.

한 시대를 풍미했던 인기 연예인이 죽음을 선택할 수 밖에 없었던 우리 사회의 부정적인 현상은 무엇이었으며 지극히 개인적인 그녀의 인간관계와 연예인이란 특수성이 무엇을 의미해 주는지 새삼 정보화 시대를 살아가는 잘못된 우리의 생활방식을 반성하는데 도움을 준 도서다. 일반 대중으로 멀리서 바라볼 수밖에 없는 팬들은 알 수 없는 그들의 화려한 무대를 그저 상상만 할 뿐이다. 인기스타의 죽음이 하루 이틀의 현상이 아니다. 내가 가장 열광하는 스타의 죽음이라 할지라도 뉴스에서 순간 흘러나오는 사건으로 받아 들일뿐 어떠한 적극성으로도 알 수 없는 안타까움이다. 어찌 보면 스타의 맹목적인 사랑 팬심은 짝사랑처럼 허무하다. 요즘 젊은 세대에게 많은 인기를 끌고 있는 진짜가수의 노래를 모창하는 프로그램이 있다. 보이지 않는 커튼 뒤에 숨어 목소리만으로 구분하는 진짜가수의 모창자들은 하나같이 그를 탐구하고 사랑하는 진정한 팬들이 많았다. 그래서 그의 목소리를 흉내를 내고 같은 모션을 취하고 때론 옷의 스타일과 모습까지 비슷해 혼란을 주는 이들도 적잖게 있다.

최진실 그녀의 아들 환희가 오디션 프로에 나온 적이 있었다. 내가 좋아하던 스타의 아들이라는 것만으로도 남 같지 않은 감정이 전해졌다. 그것은 분명 인간적으로 느끼는 엄마 최진실에 대한 감정이 아들 환희에게 보여 지는 팬의 마음이었다.

순수하게 사랑한다는 것은 거리를 두는데 동의한다는 것, 사랑하는 사람과의 간격을 두는 것이 존중하는 것”이란 시몬베유의 글을 인용한 첫 페이지를 통해 서로에게 상처받지 않을 만큼만 좋아해야 할 것 같은 글로 마무리한다. 그러나 내 가슴엔 여전히 많은 사랑하는 연예인을 가슴에 품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