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지금 국제 바칼로레아(IB)인가 - 교육 혁신과 국가 미래
에리구치 칸도 지음, 신경애 외 옮김 / 교육과학사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본 서평은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작성하였습니다.



 

국제 바칼로레아 즉 IB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예전에 다큐로도 본 적이 있고, 뉴스에서도 최근에는 종종 언급되어서 관심은 있었어요. 특히 이미 논술 관련 회사들의 경우 IB 프로그램을 적용했음을 광고로 이용하고 있더라고요.

아직 논의 중이라고는 하지만 사실상 언제가 되었든 IB 프로그램의 도입은 이루어 지지 않을까 싶은데요. 학령기 자녀를 두고 있다 보니 사실 기대와 걱정이 함께 되는 것이 사실입니다.

모든 불안은 잘 알지 못하는 데서 온다고 하죠. 그래서 일단 막연히 불안해 하기만 하기 보다는 IB 즉 국제 바칼로레아가 무엇이고 어떻게 적용될 것인지 그리고 그것을 우리 교육 현실에서 적용하였을 때 어떤 문제가 있고 어떤 점이 좋은 지를 알고 싶었어요.

그러던 중 마침 이 <왜 지금 국제 바칼로레아 (IB)인가?>라는 책을 접하게 되었답니다.

이 책이 좋았던 점은 유럽이나 미국처럼 우리와 교육 환경이나 입시에 대한 정서가 다른 나라의 사례를 통해 막연히 좋은 점만을 부각시키는 것이 아니라 우리와 교육 환경이나 교육이나 입시에 대한 정서가 비슷한 일본의 현 교육 현장에서 IB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것에 대한 과제와 기대를 적어 놓아서 더 현실감 있고 더 와 닿았던 것 같아요.

더구나 <왜 지금 국제 바칼로레아 (IB)인가?>의 경우 일본의 교육 현장에서 IB 교육을 정착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이의 직접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하고 있어서 IB 프로그램의 명암을 잘 알 수 있었습니다.

지금까지의 분위기로 봐서는 기존에 특목 자사고에서 시행되던 IB 프로그램이 공교육에서도 점점 확산될 것 같고, 더불어 시험도 서술형으로 변화할 것 같습니다. 현 초6부터 시행한다는 고교학점제도 그 연장선에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것이 개인적인 생각이에요. 시대는 변하고 변화하는 시대에 따라 교육도 변화해야 하는 것임에도 늘 변화에는 두려움이 따르네요.

그나마 이번에 <왜 지금 국제 바칼로레아 (IB)인가?>를 읽으면서 IB 프로그램의 실제에 대해 조금 더 알고 나니 그 두려움이 줄어드는 것 같습니다. 아직 우리 교육 현장에 던져진 과제가 더 많기는 하겠지만 모두가 관심을 가지고 지켜본다면 좀 더 나은 방향으로 자리 잡지 않을까 싶어요.

<왜 지금 국제 바칼로레아 (IB)인가?>는 비교적 국제 바칼로레아의 현장 적용 문제에 대해 구체적이고 전문적인 자료가 소개되고 있어서 교육 관련해서 IB 프로그램이 궁금하신 분들께도 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