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라카스 수업의 장면들 - 베네수엘라가 여기에
서정 지음 / 난다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반투명한 겉표지 탓에 자꾸만 들여다보게 된다. 


섣불리 들추어보지 않고 가만히 응시하길 바랐던 걸까. 지구 반대편의 베네수엘라를, 상상하기 어려웠던 도시 카라카스를. 한눈에 전부 볼 수 없는 것을 알아가는 일은 공을 들이는 것이다. 외부의 타자를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하다. 이 책 또한 그렇게, 시간을 들여 빤히 보아야 하는 책이었다. 직접 밟아본 적 없는 머나먼 땅에 나와 같은 사람들이, 나와는 조금 다른 방식으로 살아가고 있다는 사실을 직시했다. 지금 지속되고 있는 베네수엘라를 생각했다. 가까운 불행을 겪어내고 삶을 찾는 사람들을 생각했다. 코팅 없는 표지의 결을 반복해 문지르면서, 어딘가 눈물이 고이는 것을 느꼈다. 타자와의 공존은 곧 내 안에 있던 무언가를 포기할 줄 아는 사람이 되는 것이었다. 포기하지 않고서야 타인을 받아들였다고, 이해했다고 감히 말할 수 있을까. 정말 쉽지 않은 일이다. 카라카스는 너무 멀었고 나는 당장 전기가 끊기는 삶을, 언제 다시 전기가 들어올지 모른 채 마른 식료품만으로 몇 날 며칠을 버티는 삶을 도무지 상상할 수 없다. 그 안에 있는 내 모습을 떠올렸을 때, 나는 한없이 나약해진다. 편안한 삶을 영위하는 것을 도무지 포기할 수 없을 것 같다. 


하지만 너머의 삶을 살아가는 그들과 나 사이에는 분명, 꿈과 결핍이 있었다. 그리고 우리는 꿈과 결핍으로 미래를 만들어내는 사람들이다. 자신이 만든 인형의 세계로 깊이 묻힌 사람이 있었다. 인형에게 세계를 열어주기 위한 듯, 자신을 담보로 완전히 새 세상을 꾸몄다. 기하학적인 선들을 흩뿌림으로써 새로운 풍경을 그려내는 이도 있었다. 현실이 지독히도 불안정하므로, 그것을 알고 있으므로 예술가는 결핍을 수용하는 방식으로 예술을 택한다. "연주하고 노래하고 싸워라."라고 말하는 엘 시스테마 또한, 결핍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그것은 인간의 본질과 닮아 있다. 부족한 것에서부터 새로움을 갈구하고, 기갈을 견디다 이대로는 안 되겠다 여기며 거리로 나가는 이들은 모두 닮았다. 같은 모습을 가졌고 통하는 데가 있다. 우리는 모두 다른 사람이기 때문에, 타인에게서 내 모습을 찾아내면서 포기할 줄 아는 사람이 된다. 베네수엘라를 배우는 일은 곧 한참 멀리 있는 또 다른 나를 찾는 일이었다. 그쪽에도 나의 모습이 있구나. 그래서 우리는 멀지만 연결된 이 땅에서 함께 살아가는구나. 찬찬히 응시했을 때만 알게 되는 것으로 생각했다. 텍스트를 급히 대하지 않아서, 나 이해해 달라고 급히 매달리지 않아서 이 세상에 혼자 있는 게 아님을 알았다. 저편에도 내가 있는 걸 보았다. 고통받을 때도 살고 싶은 이유가 이런 데 있나 보다.


💌 서정 쓰고 난다 펴냄, 

『카라카스 수업의 장면들』을 경유한 글


- 출판사에서 책을 제공받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