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 베이비
김의경 지음 / 은행나무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44세 강문정, 38세 한지은, 37세 윤소라, 44세 이혜경, 37세 장은하, 46세 김정효. 난임으로 아기천사병원에 다니고 있는 예비엄마들의 단톡방 <헬로 베이비>를 둘러싼 이 소설의 중간 제목은 (정효의 아랫집에 사는 40세 최설주를 제외하고) 다섯 명의 나이와 이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름 앞에 적혀 있는 이름은 35세 이상의 노산이자 완경이 찾아오기 전의 나이대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겠구나 싶으면서, 생애주기에서 여성이 어떤 역할을 요구받는지를 보여준다는 생각도 들었다. 엄마여야 하는데 엄마이지 못한 사람들에게 새겨진 주홍글씨 같달까.
<헬로 베이비>에서는 배우자를 포함해 어떤 가족구성원은 물론 친구, 직장 동료들에게도 이해받거나 공감받지 못하면서도 아이를 원하는 난임 여성들은 서로를 의지하고 돌보며 임신을 기다린다. 이건 소설이 아니라 비소설이 아닐까 싶을 정도로 낯설지 않은 전개가 펼쳐진다. 고사난자, AMH(항뮬러관호르몬) 수치, 바이오아지니나액, 실시간배아관찰경처럼 처음 듣는 용어도 있었지만, 나 역시 자궁난관조영술을 받은 경험이 있고 혜경의 자궁근종 수술 후 남편의 반응(97-102쪽) 또한 비슷했던 걸로 기억한다.
아이를 낳고 키우는 엄마의 경험이 주변에 수두룩해도 공론화되지 않는 것 못지않게 숱한 난임 여성들의 목소리도 그다지 들리지 않는다. 국가에서는 ‘저출생’ 문제로만 가임기 여성을 호출한다. 난임휴가를 사용하는 직원을 저격하는 직장 익명게시판(59-60쪽)에는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을 사용하는 직원에게도 달릴 것이고, 아이를 낳으라고 독촉하는 친정엄마나 난임병원에 다닌다는 사실을 시댁이 알고 있다는 사실(120-121쪽)만으로도 스트레스를 받듯 아이를 이렇게 키우면 된다 안된다 이번 주말엔 올 거냐 영상통화를 하자 참견질로 피곤한 건 아이를 낳고서도 매한가지다. 출산을 여성의 의무이자 책임으로 짐 지우는 가부장의 틀은 기혼이든 비혼이든 다를 것 없는 감옥이다.
아이를 왜 안 낳느냐는 질문도 왜 낳느냐는 질문도 과도기 한때 그런 시절이 있었지로 웃어넘길 수 있는 언젠가가 찾아올까. 사람은 상황마다 시기마다 하나의 질문에도 수없이 대답이 바뀔 수 있고, 실상 어떤 질문은 진지한 물음이기보다 비난이거나 조롱인 경우도 있다. 배려나 존중이 늘 옳기보다 약자를 대하는 또 다른 차별일 때가 있는 것처럼, 난임 여성을 향한 우리의 시선 역시 이중적이었던 것 같다. 여성을 돕는 이들이 같은 처지의 여성뿐이었다는 사실을 읽으면서 되뇔 때마다 슬픈 이야기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