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환의 시대, 새로운 대한민국이 온다 - 김준형의 외교혁명 제안
김준형 지음 / CRETA(크레타)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러고 싶은데 이미 다 글렀어요.. 5년 더 기다려야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국의 시간 - 아픔과 진실 말하지 못한 생각
조국 지음 / 한길사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국이라고 검색하면 왜 맨 첫번째 안뜨는건가요? 바로 떠야되는거 아닌가요?

댓글(1) 먼댓글(0) 좋아요(6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로드™ 2021-05-27 19:4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제 제일위에 뜨네요
 

정말 고생많으셨습니다. 만화책을 보면서 이렇게 역사를 재밌게 알아가게 될 줄은 몰랐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잘부탁드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당신에게, 제주 - 제주 여행을 꿈꾸는 당신을 위한 감성 가이드 당신에게 시리즈
고선영 지음, 김형호 사진 / 꿈의지도 / 2013년 6월
평점 :
품절


올해 사무실 직원들과 두번째 제주도 여행을 했다. 몇 년 전 아내와 같이 갔을 때 그냥 우리끼리 대충 유명한곳을 골라 짜고선 렌트카를 빌려 돌아볼 때, 이제 왠만큼 제주를 다 알았다고 생각했었는데 이번에 또 제주도를 가니 새롭고 낯설었다. 그만큼 안가본 곳이 많다는 애기일 것이다.

그래서 이제 두번이나 제주에 가봤으니 어느정도는 가본 것이 아니겠다 싶어서 이 책을 펼치기 전에 내가 가본곳이 얼마나 되는지 확인해보고 싶은 마음에 차례를 빠르게 훓어 보았는데 아니 글쎄.. 한곳도 없었다.ㅠ 어떻게 이렇게 한곳도 없는지... 기껏 비슷해봐야 우도여행정도? 것도 버스를 타고 한 여행이 아니라 렌터카를 그대로 배에 실어서 한바퀴 돈 정도니.. 제대로 여행을 한것이 아닌게 되버렸다.

 

이 책을 보면 그렇다. 내가 제주도를 여행했지만 그냥 수박겉할기 식으로 둘러보기만 한 여행이라는 것을.. 그리고 이 책을 보면 다시 내일이라도 당장 제주도로 떠나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아진다. 이 책의 표지에 있는 글귀가 이책의 자신감(?)을 느끼게 해준다고나 할까? '두번째 제주 여행을 꿈꾸는 당신을 위한 감성가이드' 두번째 제주여행... 첫번째 제주 여행은 가이드가 대충 유명한 음식들을 떠먹여주는 여행이라면 이제는 진정한 제주를 느낄 수있는 여행을 해보라는 듯이 이 책이 그 여행의 진정한 맛을 느끼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는 자신감을 피력하고 있는 듯하다.

 

이 책의 맛은 세심한 배려가 느껴지는 글솜씨와 안내책자같이 보기편한 구성뿐만 아니라 지금이라도 당장 제주로 가고 싶은 마음을 느끼게 해주는 사진들일 것이다. 이 책의 사진들을 보는 누구나..

 

난 개인적으로 교래자연휴양림을 꼭 다시 가보고 싶다. 신비로운 곶자왈 숲속을 거닐고 그곳 휴양림 숙소에서 하룻밤을 보내면서 제주에서의 세번째 추억을 만들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허기사회 - 한국인은 지금 어떤 마음이 고픈가 아케이드 프로젝트 Arcade Project 2
주창윤 지음 / 글항아리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살림살이 좀 나이지셨냐는 어느 대통령 선거 후보자의 말이 인기가 있었을 때가 십수년이 훌쩍 흘렀는데 그동안 살림살이는 별로 나아진 것이 없어보인다. 오늘 서울 시민 75.9%는 자신이 사회경제적으로 중하층에 해당한다고 생각한다는 신문기사를 읽었다.

 

IMF시절이 지난 이후 경제적인 욕구는 어느 정도 해결되었다. 하지만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우리는 아직도 무엇인가 부족하다고 느끼면서 살고 있다. 그리고 부족함때문에 우울해하고 있고..

 

이 책에서 우리가 필요한 것은 '정서적 허기'를 채우는 것이며 또 어떻게 채우느냐인데 이를 위해 퇴행적 위로, 나르시시즘의 과잉, 속물성에 대한 분노들의 표출로 그것을 채워나가고 있다고 보고 있다. 그것이 허기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인자들이며 그것들을 각 장의 테마를 통해서 설명하고 있다.

 

책이 얇다고 만만하게 봐선 안된다. 저자는 허기사회라는 큰 틀 속에서 우리 사회문화 현상들에 대한 예를 들어가면서 위의 구성요인들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는데 굉장히 논리적이며 설득력이 있게 써내려가고 있다. 읽으면 읽을수록 많은 내용을 담고 있다는 것을 알수있다.

 

한번 읽어보면 쉽게 수긍이 가지만 이렇게 수긍이 간다는 것이 좀 씁쓸하게 느껴진다. IMF를 거치면서 너무나 많은 변화를 겪었으며 경제적 허기를 신경쓰느라 정서적인 허기를 다루는 데 너무 소홀한 것은 아닌가?하는 생각이 들었다. IMF시대를 거치면서 지불했던 경제적인 비용보다는 앞으로도 해소될 것이라는 게 불확실한 정서적 허기를 채우는 일에 들어가는 비용들이 더 많지 않을까?

 

저자는 이러한 정서적 허기를 채우기 위해 '눈부처 주체'라는 것을 일종의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정서적 허기를 설명하기 위해 많은 부분을 할애한 탓에 이 대안에 대한 설명이 많이 부족해서 아쉽다. 다음에는 이러한 사회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이야기를 듣고 싶다. 저자의 사회문제를 꿰뚫어보는 눈을 보면 그것에 대한 대안 제시도 현실적이리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