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모두 생물이니까 - 선생님도 몰랐던 미래 읽기 프로젝트 뉴제너레이션을 위한 진로 가이드 4
줄리 라르동 지음, 요한 콜롬비에 비베스 그림, 곽지원 옮김 / 다산어린이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가 다양한 생물을 탐구하는 것을 좋아해요.

그런데 생물을 좋아하는 만큼

생물을 어떻게 지키고 보존할지도 알려주고 싶었어요.

다양한 생물을 소개하는 책들은 많지만

저학년의 눈높이에 맞춘 생물의 소중함을 알려주는 책은 많지 않더라구요.

그러다 만난 <우리는 모두 생물이니까> 책은

아름다운 그림이 가득 담겨 있어서 편안하게 이야기를 읽을 수 있는 책이더라구요.

이 책에는 생물에 대한 연구, 생물다양성, 대멸종 등에 관한 이야기가 담겨 있어요.

가장 먼저 생물다양성이 무엇인지를 알려주고 있어요.

생물다양성은 "지구상에 사는 생물들의 다양한 형태"예요.

아이들에게 생소한 생물다양성이라는 개념을 이렇게 쉽게 소개하고 있더라구요.

고대부터 생물의 분류방식이 있었는데, 4세기 철학자로부터 비롯되었다네요.

린네와 다윈의 연구로 생물분류방법이 체계화되었어요.

아이랑 함께 읽으면서 어려운 생물 개념들을 이해하는 것이 즐거웠어요.

계통수~!! 매우 생소한 개념이지만 그림으로 이해하니,

그리 어렵지 않게 느껴지더라구요.

진핵생물과 원핵생물이 있고, 동물과 식물, 박테리아로 나뉘는

그 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많이 되었어요.

아이가 이렇게 많은 생물이 존재하는 줄 몰랐다네요.

우리 아이에게 새롭고 유익했던 부분은

<정치에서의 생태학>이었어요.

인간의 활동이 생태 위기를 불러온다는 경고 하에

생태에 대한 관심이 과학계뿐만 아니라 정치계에서도 생겨났다네요

파리에서 이루어진 "생물권 회의" 외에도,

유엔의 환경운동이 바로 정치학에서의 생태학이라네요.

이 책을 읽으며 아이가 생물에 대한 단순한 관심 뿐만 아니라

우리의 생태계를 어떻게 지켜나갈지도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졌어요.

대멸종의 시기가 도래하고 있음에 대한 증거들도 찾아보고

우리의 환경생태계를 우리가 어떻게 지켜나가야할지,

어린이로서 나는 어떠한 것을 약속하고 지킬 수 있을지에 대해 생각해보았어요.

생물의 멸종을 막기 위해 어린이가 생각하는 힘을 기를 수 있는 책입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된 솔직 후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