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로 보는 정재서 교수의 이야기 동양신화 1 : 천지창조 - 중국 편
정재서 지음, 김학수 그림 / 김영사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만화로 보는 정재서 교수의 이야기 동양신화
1. 천지창조

정재서 원작 ㅣ 김학수 글 그림
김영사


저도 그랬고, 요즘 아이들도 그랬고 신화하면 그리스로마신화부터 읽기 시작해서 더 두꺼운 그리스로마신화로 끝나는 경우가 대부분이였어요.
동양신화? 그런것이 있었나? 할 정도로 동양신화에 대해서 무지했던것 같아요.
막상 읽어보니 우리가 알고 있던 이야기도 있어서 더 친근했어요.

만화로 보는 정재서 교수의 이야기 동양신화 읽으면서 동양신화에 대해 정리를 해보고 우리 문화에 대해서도 더 관심을 가지면 좋을 것 같아요.




처음 보는 신들이라서 눈에 안들어왔어요.
책에 나오는 주요 신들에 대해서 요약을 해놨답니다.

캐릭터까지 그려놨으니 더 알기 쉬울거에요.
전 한번 쓱 보고 나서 뒷 부분을 읽고, 해당 신이 나오면 다시 앞부분의 신을 소개하는 페이지로 가서 다시 읽었어요.
그래야 머리속에 들어오더라구요

전 '여와'라는 신이 제일 멋있고 기억에 남네요~


여신인 여와가 흙으로 정성스럽게 사람을 만들었대요.
그런데 하나하나 만들다보니 시간이 너무 걸리는거죠!!
그래서 노끈을 구해서 황토 푼 물에 담갔다 휘둘르면 그 흩어진 진흙들이 꿈틀꿈틀 사람으로 변했대요.

이런 신화자체도 참 우습기도 하고 신기하기도 하지만 더 재밌는것은 그 다음이에요.

바로 여와가 처음에 정성껏 만든 사람은 귀하고 똑똑한 사람이 되었고, 나중에 대충 만든 사람들은 천하고 어리석은 사람이 되었다는거죠!!

그때부터 신분차별이 있었다는 얘기로 전 들리더라구요.
어차피 신화는 계속해서 내려오면서 살이 붙여지고 또 이야기가 변하기 마련이기때문에 신화를 그대로 믿지 말고 그 속에 담긴 뜻을 생각해보면 더 좋아요!!
여와라는 신은 태초의 위대한 어머니라고도 불리운대요!!


저도 같은 생각을 했었는데 그리스로마신화에서도 흙으로 사람을 만드는 내용이 나와요.
만화로 보는 정재서 교수의 이야기 동양신화에서는 이런 신화적 요소를 서로 비교해주면서 상식을 많이 알려주더라구요.

세계적인 교류는 없었을 때였던것 같은데 생각하는것은 동서양이 서로 비슷하네요.
이렇게 비교해주는 내용을 잘 숙지하면 나중에 세계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우리가 알고 있던 직녀가 신이였다니!!
견우와 직녀의 이야기가 여러가지 버전으로 나온다는 사실이 이 책에 나와 있더라구요.
서로의 이야기를 비교해보면서 더 재미있게 신화를 읽어볼 수가 있어요.

우리가 알고 있는 직녀의 모습이 실제와는 너무 달라서 살짝 충격이였어요. ㅎㅎ
단순히 신화가 아니라 중국의 유물에서도 그 내용을 볼 수가 있고 고구려 고분 벽화속에서도 그 모습을 볼 수 있다고 해요.
얼마나 오래된 이야기인지 짐작 할 수가 있답니다.

만화로 보는 정재서 교수의 이야기 동양신화를 읽다보면 이야기가 서로 연관되어 있는 부분이 있어서 책을 여러번 읽어볼 것을 권해드려요.


그리스로마신화같은건데 그 내용이 동양적인 내용이야~ 하면서 책을 보여줬어요.
만화로 되어 있다보니 금새 읽더라구요.

그런데 내용을 알고 있니? 하고 물어보니 선뜻 이야기를 못하더라구요.
그래서 책을 여러번 읽게 하고 있어요.
등장하는 신이 많고, 내용이 겹쳐보이는것들이 있기 때문에 말로 설명을 못하는거더라구요.

하늘과 땅이 열리게 된 이유와 인간이 만들어지게 된 계기, 그리고 여신들과 천하를 호령한 큰신들등의 이야기를 읽어보면 자연스럽게 역사공부도 되는것 같아요.
우리나라역사에 대해서 좀 더 신비스러운 생각을 할 수 있게 하고, 중국과의 연관성도 알 수 있는 만화로 보는 정재서 교수의 이야기 동양신화!!

1권 천지창조를 읽어봤는데 색다른 내용이라서 무척 만족스러웠어요.
아이들의 상상력을 더 끌어올릴 수 있고, 나중에 역사를 배울 때도 이책의 내용을 떠올릴 수 있을것 같아요.

 

 

** 출판사로부터 책만 제공받아 읽어본뒤 주관적으로 작성된 글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