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다, 어디까지 내려가 봤니? - 해수면부터 심해까지 바다 동물과 누비는 여행
자눔베르토 아치넬리 지음, 줄리아 차파로니 그림, 김여진 옮김 / 런치박스 / 2024년 11월
평점 :
표지부터 눈길을 확 사로 잡는 책,
<바다, 어디까지 내려가 봤니?>

일반적인 가로 판형의 책이 아니라 세로 판형의 책으로, 책장을 위로 넘기면서 점점 바다 깊은 곳으로 들어가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페이지마다 왼쪽에 바다의 깊이를 의미하는 미터 표시가 있어서 책장을 넘길 때마다 점점 깊은 바다 속으로 들어가는 느낌이다.
햇볕을 받아 반짝반짝 빛나는 옥빛 바다 표해수대부터 빛이 더이상 닿지 않아 시커먼 초심해저대까지
깊이에 따라 다양한 푸른 색으로 바다의 깊이감을 표현하는데
그 푸른 색의 변화가 너무나 아름다워서 책장을 넘겨보는 손을 멈출 수가 없다.

목차도 깊이에 따라 크게 800미터 아래와 8000미터 아래로 구분되어 있다.

또 바다를 해수대 층별로 표해수대, 중심해수대, 점심해수대, 심해저대, 초심해저대로 구분하는 해수대의 층별 구분을 한 페이지에 담고 있어서 해수면부터 심해까지 바다를 한눈에 볼 수 있다.
각 해수대 층에 대한 개괄적인 설명으로 시작하여 해당 해수대에 사는 바다 생물들을 깊이별로 소개한다. 대표적인 생물에 대해서는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더하고 있다.


단순히 바다에 사는 여러 생물들을 나열하는데 그치지 않고, 생분해 되지 않아 생태계에 위협을 가하고 있는 플라스틱과 점점 사라져 가고 있는 바다 생물의 다양성에 대해서도 언급한다.

세계 인구가 증가하면서 인간이 거주하는데 필요한 육지 공간도 이용할 수 있는 자원도 점점 줄어들고 있다. 그래서 점점 해양 생태계로 사람들이 눈을 돌리기 시작하고 있다. 놀라운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지만 바다는 아직까지 우리에게 우주보다도 미지의 세계로 남겨져 있다. 해저에 와 본 사람보다 달에 간 사람이 더 많다는 것만 봐도 우리가 얼마나 바다에 대해 무지한지 알 수 있다.

이 책은 다양한 바다 생물들을 소개하면서 해양 생태계의 중요성에 대해 우리의 주의를 환기시켜준다. <바다, 어디까지 내려가 봤니?>와 함께 바다에 뛰어들어 바다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고 나아가 인류가 직면하고 있는 지구환경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할지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 네이버 미자모 카페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솔직한 리뷰를 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