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터디 코드 3.0 - 서울대생 3121명의 근본적이고 절대적인 공부법
조남호 지음 / 웅진윙스 / 2014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쉽게 말해서 단편적인 공부자극서라고 말하기엔 너무나 스펙트럼의 범위가 넓고, 그렇다고 인생개발서라고 하기엔 읽는 독자가 매우 제한적이다. 이책의 독자라면 'Sky로의 역전'을 원하는 수험생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수많은 수기 책 인터넷 후일담이 난무한 가운데 구체적으로 '이렇게만 하면 무조건 성공한다'라고 하는 specific한 정보는 없는 것이 대한민국 현설이다. 하지만 이 책에서 제시하는 공부법은 부담스러울 정도로 구체적이고 단호하다. 이책은 감동수기따위가 없다. 정말 '니가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을 알려주는거야' 라고 말하고 있다. 

조남호 라는 코치에 대해서 익히 알고는 있었지만 이렇게 치밀하고 계산적인 사람은 없는 것 같다. 

어떤 곳도 아닌 오직 대한민국 최공의 학교 sky를 목표로 한다. 하지만 최상위권만을 위한책은 아닐것이다. 오히려 지금은 상 중 하위권이지만 그래도 최고에 도전해 보겠다라는 포부를 품은 학생을 위한 책인다. 모두가 현실적으로 sky를 고등학교 입학과 동시에 꿈꾸지만 시간이 갈수록  그들의 꿈은 멀어져만 간다. 

개인적인 첨언을 하나 하자면

  성적은 공부 방법 곱하기 공부시간이라는 말이 있다.
양적축적을 통해 질적 비약에 이르기 위해 어느 정도의 공부양이 있어야겠지만 무턱대고 책상에 앉아 책만 본다고 성적이


오르지는 않는다.
공부방법이 문제인 것이다.
‘공부해라!’라는 잔소리나 학원에 등록시키는 것만으로는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없다. 유명학원이나 고액과외로도 최상위권은


힘들다. 그렇다면 서울대 , 포항공대, 연고대 등 명문대에 진학한 학생들은 어떤 공부 방법으로 공부를 했던 것일까?



  누구나 가지는 이러한 궁금증을 풀기 위해 프로젝트를 만들고 서울대에서 직접 설문조사를 하여 통계를 낸 이가 <스터디 코드>의 저자 조남호다.  저자는 책제목에서 말하듯 공부에는 코드가 있음을 강조한다.
공부가 왜 필요한지 학습자가 깨달아야 하는 것이 우선이며, 시험에서 원하는 문제유형을 풀기 위한 학력을 갖추고 효율적 학습을 위해 짜임새 있는 계획표는 꼭 필요하다. 누구에게나 오는 슬럼프를 극복하여 맑은 정신 자세로 시험보는 날 전까지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하는 것도 강조하고 있다.



  공부에 왕도는 없지만 자기주도적으로 공부하는 사람은 좋은 결과가 따르고 진정한 자기주도적 학습은 극기와 인내, 성실을 원천으로 한다. 물론 조금만 공부하여서 좋은 성적을 만드는 공부 방법은 없다. 똑같이 열심히 많이 공부하였을 때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공부 방법을 선택한는  것이 현명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