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스 시대의 트랜스 브랜딩 - 세계 최초의 트랜스 브랜딩 전략서
장동련.장대련 지음 / 이야기나무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두명의 쌍둥이 교수 장동련(홍익대 시각디자인학과 교수), 장대련(연세대학교 경영학과 교수)가 공동으로 책을 냈다.
그들이 말하고자 하는 책의 내용은 TRANS이다. 트랜스 시대에서' 생존해야 하는 기업의 브랜드 전략을
세련되고 하지만 경영학이 충분히 들어가 있는 그런 저서였다.

 이 책을 읽으면서 곰곰히 생각해 봤다. "트랜스"가 무엇이며 왜 트랜스인가?

이책의 저자인 장교수들은 휴대폰과 인터넷의 결합(스마트폰) 그리고 TV가 함께 되는 세상을 말하고 있다. 즉 이 결합과
결합은 더는 새롭지는 않다 하지만 트랜스라는 단어에서 알다시피 Transcontinental(횡단)의 의미에서 더 나아가, (Transcend)
초월적인 의미를 갖고 있다고 이들은 책 내용에서 말하고 있는 것이다. 

누구나 알다 시핃 미디어와 미디어 사이에의 경계는 허물어진지는 오래다 , 누구나 지식을 채울 수 있는 인터넷이 발달했고 서로 맞물리고 있는 시대인 것이다. 그런 트랜스는 SNS를 상정하며, 그 안의 요소 하나하나 까기 서로 깊숙이 연결되어진다고 생각하며 그런 구체적인 움직임이 다양성을 결국에는 가져다 오며 언젠가는 초월적인 "트랜스"가 이루어진다는 생각을 저술하였다.

현대 사회에 있어 삶의 모든 면을 수용하고 있다고 생각하며 단순히 알지도 못하는 단어를 열거한 것이 아닌, 과거에서 부터 존재해왔떤 변화에 대한 새로운 시각으로 우리의 삶속에 조금씩 조금씩 차아 오르고 있고 함께 진화한다는 얘기를 하는 것이다.

 이책은 결국 "Branding(브랜딩)"을 trans현상의 집약체(응집하여 모인 곳)로 보고 있는 것이다.  현대 회사들의 브래드는 대중들의 취미와 성향 , or 입맛에 적응 해야 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그래서 새로운 수요 창출에 골몰하고 있기에 브랜딩이라는 현장에서 Trans의 현상이 어떻게 집약적으로 진행되어 가는지를 파악하라는 얘기를 하고 있다. 그런다면 새롭게 파악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장동련 교수는 "기업도 브랜드도 동시대를 살아가는 사람과 시장 환경까지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다. 변화의 속도는 점점 더 빨라져 '변화'라는단어 자체로는 복잡하고 미묘한 상황을 전부 설명하기에 부족하다"며 "이제는 변화를 대체하는 새로운 용어가 필요하다. 그것이 트랜스"라고 책에서 말하고 있다.

 새로운 사례를 예를 들자면 지금 내가 이 서평을 쓰고 있는 "Chrome"  혹은 Google Glass 같은 것들이라고 할 수 있겠다. 스마트폰은 언밀히 말하자면 이미 지난 시대의 유품이라고 이 책을 읽은 후에 생각을 나게 한다. 웹서비스를 스마트폰과 PC와 같은 다양한 전자기기(device for Using conveniently for human being)가 일관성있게 경험되고 Connecting 연결되 construct(설계)되었다. 

구글글라스, 크롬과 같은  Ware를 사용하다보면 사용하는 device와 상관없이 똑같은 혜택(BENEFIT) 을 얻게 된다는 그들의 생각이고 심지어는 컴퓨터 따위에 기기를 잃어버린다고 해도 , Chrome으로 로그인만 하면 예전에 쓰던 데이터와 설정들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미 알다시피 Internet explorer를 앞지르고 시장 점유율 1위를 앞서 있다. 즉 두 쌍둥이 교수가 하는 말은 사실임을 증명하고 있다는 얘기가 된다.

이런 Trans Activity와 와 Thinking의 대한 이해를 함께 도와줄 한층 마케팅에 앞서있는 Leader의 인터뷰가 매우 흥미로웠다. 두 교수가 말하고 있는 이런 주장들을 힘을 실어주는 리더들이 있기에 더욱 더 신빙성이 가고 있는 브랜딩 입문서가 아닌가 생각이 든다. 세상의 변화를 가장 빨리 감지하는 분야는 아마도 마케팅과 디자인 일 것이다. 변화의 의미를 폭넓게 융합한 
Trans Branding 매우 흥미로운 소재거리 이며 통창과 혜안이 담긴 전략서가 아닌가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