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집단의 힘 - 조직심리학이 밝혀낸 현명한 선택과 협력을 이끄는 핵심 도구
박귀현 지음 / 심심 / 2023년 11월
평점 :

<집단의 힘 서평>
집단의 힘은 표지부터 심플함과 글자 강조가 돋보이는 책이었다.
책을 읽으며 느낀 전체적인 인상과 동일했다.
책을 펼치기 전 나의 질문은 이것이었다.
사람은 '집단'을 왜 이렇게까지 중시하는 걸까?
<느낀 점>
내용을 재밌게 본 것과 글솜씨가 유려하고 깔끔해 본받고 싶은 생각까지 들었다.얼마나 내용이 깔끔하냐면 요약을 못하는 편인데도 핵심 문장이 정리가 잘 되었다.책 내용은 먼저 집단의 어떠한 특성을 얘기해준 뒤, 이게 안 좋게 작용하는 경우를 이어서 말해주는 식이다. 그러다 보니 몰입해서 읽게 되는 나 자신이 보였다. 그리고 소수의 의견이 가지는 영향력과 파워를 설명해주는 부분이 좋았다. 한 쪽에 치우치지 않고 건강하게 밸런스 있는 내용 구성이 된 것 같고 예시도 자세히 들어 주기 때문에 처세술에도 도움이 되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구석기 시대부터 유용한 지식을 저장하고 전수받는 중요한 역할을 했던 '집단'이기에
집단 위주에 거부감을 느낀 나였지만 '집단의 힘'을 인정할 수 밖에 없어졌다.
그리고 다수 위주로 흘러가는 우리나라 사회에서 소수파들의 존재 의의를 깨닫고 관점이 넓어졌다.
건강하게 지식을 전달해주시는 저자님의 다른 책도 읽어볼 예정이다.
책에서 기억에 남는 용어 및 내용
-집단 사고
: 의견 일치가 더 중요해서
-무행동 따돌림
-융통성은 다수에게나 허락되는 특권(소수의 의견 파트의 내용)
이며 이 책은 조별과제로 고통받는 사람들(예를 들어 대학생)들한테도 충분한 도움이 될 것 같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