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2/01 20:04   조회: 72472   스크랩: 844





 

대부분의 펀드가입자들은 가입사(은행또는 증권사)에서 권유하는 기간만큼 적립식펀드 자동이체일 설정을 해둡니다.

아무런 근거없이 3년을 권하죠.(적립식 펀드는 장기로 보는거라며 ..)

 

어제도 표 올렸듯이 저는 적립식펀드를 14개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펀드들의 자동이체일은 딱 1년만 설정 해놓습니다.

그리고 그1년이 모두 흐를즈음 같은이름의 동일펀드를 다시 다른계좌로 재가입합니다.

이러면 가령 디스2라면 디스2의 적립식 펀드계좌가 2개가 생기는것이고요.

맨 처음 가입한 디스2구좌는 가령 20만원씩 적립하셨다면 총 240만원짜리 원금의

거치식 계좌가 1년에 하나씩 생기는겁니다.

 

해마다 이것을 반복하면 10년이면 원금 240만원짜리 디스2계좌가 10개 생깁니다.

저 처럼 펀드가 많으신분들은 원금 240만원짜리 계좌가 140개 생기는 것이고요

 

물론 디스1,2나 동양중소형 또는 미차솔1 같은 펀드는 다음해 신규가입이 안될 경우도

있습니다.하지만 그 아류작들이 신규로 계속나오죠.2호3호4호 이런식으로요.

그럼 이듬해에는 울며겨자먹기로 아류작을 가입하시거나 아니면 한해동안의 흐름에 따라 같은 성격의 조금이나마 더 낳은 펀드를 가입하셔도 무방합니다.

완전히 닫혀버린 펀드는 그냥 나누지 마시고 기간 연장 신청하심됩니다.

(간혹 닫혔던 펀드를 다시신규 가입받는경우도 자주 있습니다. ex:디스1)

 

우리가 살다보면 보험으로 해결안되는 인생의 변수가 종종 옵니다.(나쁜의미의..)

집을 늘리신다거나 차를 바꾸신다거나 ..등등(좋은의미의..)

목돈이 필요할 경우가 많습니다

 

2년넘게 유지해온 펀드를 한꺼번에 환매하기에는 간혹 90일이나 180일 패널티부분이

아까운 경우가 종종 있죠.물론 부분환매라는 것도 있으나 적립식 펀드 부분환매 안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경우를 생각해서 같은 펀드를 하시더라도 계좌를 나누시라는겁니다.

금액이나 좌수나 수수료 이런거 전~혀 불리한점 없습니다.모두 동일합니다.

통장갯수만 늘어날뿐

오히려 나중에 목돈 필요 하실때 그 필요하신 금액만큼 펀드 통장 환매하시면

되니 오히려 편리하죠.

(거치식도 마찬가지로 1,000~3,000단위로 나누어 두시면 좋습니다)

 

지난 6월에도 이글 올렸었는데  그간 신규분들이 많이 오셨기에 다시 글 올립니다.

동일 펀드를 모하러 통장 여러개로 나누는지 그 의미를 전달해드리기 위해 ...

 

예전엔 관리하기 불편하시다는 말씀들이 많았으나

잉어지짐님이나 치케모님 또는 제가올린 엑셀로 펀드 관리 하시는분들은 

통장관리 !! ^^ 일도 아닙니다.(그저 한칸 더 늘리시믄 됩니다^^)

 

 

인생에 있어 투자의 기간을 얼마로 보시나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