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생각도 했더랬다. 머리를 감으면서 빠져나가는 내 머리카락들을 보면서 이것들이 흘러가서 하천에 쌓이면 어떻게 하나. 새 아파트 단지인데도 쓰레기 모이는 장소를 보면 새 주택단지가 아닌것 같았다.

나중에 나중에는 쓰레기 속에서 살게 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심각한 미래상도 그려보았드랬다.

그런데 점점 현실화 되어가는 것은 아닌지 심히 걱정이 된다.

전 세계 전자제품의 쓰레기는 중국으로 몰리고 있다 한다. 썩지도 않고, 재활용도 한계가 있는 그것들 어찌해야 하나



 7월부터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고 남은 침출수 (浸出水) 처리 기준이 강화됨에 따라 이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처리업체의 침출수 해양 배출이 전면 금지 되었다. 이에 따라 일부 업체들이 음식물 쓰레기 수거를 중단할 경우 음식물 쓰레기 대란이 우려된다한다.

  2004년 해양오염방지법 시행규칙 - 음식물 쓰레기를 사료나 퇴비로 처리하고 남은 침출수의 수분함량이 95% 이하일 경우 해야 배출을 전면 금지. 다만, 3년의 유예기간 동안은 90%정도만 돼도 문제가 없었다. 그리고 현재 음식물 쓰레기 침출수의 80%는 바다에 버리고 있다.

  전국의  음식물처리업체는 170여개라 한다. 그런데 업체에 대한 검사가 진행중인데, 70~80%가 불합격 판정을 받을 것으로 한국음식물류폐기물자원화협회는 보고있다. 그렇게 되면 3-4일 내에 대부분의 업체들이 음식물 쓰레기를 받지 못하게 될것이라 한다. 이틀만 치우지 않아도 온통 쓰레기장으로 변하는데...

  음식물류폐기물자원화협회 총무위원장 - 업체들은 2~3억원씩 들여 새 시설을 갖췄지만 강화된 배출기준을 충족시키는 업체는 거의 없다 - 침출수에는 음식찌꺼기 외에 물에 녹아 있는 염분·칼슘 등 성분만 해도 4-6%  정도가 나와 수분을 95% 이상 유지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해양수산부 - 바다환경 보전을 위해서는 배출기준 및 수분함량 측정방법 변경은 불가능하다 - 새로운 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는 시설들이 현재 시판되고 있어 현행 규칙에 문제가 없다

                                                                                  -조선일보 2007. 7. 21 토 

 난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가 탐난다.



RFW -O3HD 43만원

RFW -12HD 36만원

요즘은 가격이 많이 내렸다하는데

탐난다 많이

음식물쓰레기 건조 시키는 기기의 값을 저렴하게 해주고, 모든 가정에 있다면, 쓰레기 양이 훨씬 줄어들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