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사가 날 대신해 소설, 잇다 5
김명순.박민정 지음 / 작가정신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천사가날대신해 , 김명순과 박민정 #작가정신 <도서 협찬>
.
.
근대 여성 작가와 현대 여성 작가의 만남, #소설잇다 시리즈를 다섯 번째 이번 작품에 이르기까지 읽어 오고 있다. 이 시리즈를 좋아하는 이유는, 무엇보다 근대 여성 작가의 소설을 현대의 여성 작가가 어떻게 풀어내어 자신의 세계를 보여줄까 하는 기대감 때문이다.

김명순 작가는 ‘첩의 딸’이라는 이유로 사회와 문단에서 ‘나쁜 피’가 흐르는 여성으로 극심하게 부정 당하는 학대를 받았다고 한다. 이 책에는 김명순 작가의 소설 세 편이 실려 있는데 조선의 가부장적인 사회에서 여성이 받았던 고통이 모두 드러난다. 아내를 두고도 외도를 밥먹듯이 하는 남편들이나, 학대와 괴로움을 겪다가 마침내 죽음을 맞이하는 여성들의 모습이 여성들의 비극을 극대화한다.

등단작이기도 한 <의심의 소녀>에서는 꽃처럼 어여쁜 팔구세의 ‘범네’라는 소녀가 등장한다. 동네의 누구와도 교류하지 않는 범네 가족의 정체를 두고 사람들은 의심을 하는데, 사실 범네는 바람둥이 그 자체인 아비와 그 틈에서 고통 받던 어머니가 자살에 이른 안타까운 사정을 남몰래 숨기며 사는 ‘불쌍한 소녀’이다. 소설 <돌아볼 때>에서도 주인공 ‘소련’은 여자를 끊임없이 만나고 갈아치우는 아버지와 첩이었던 어머니가 끝내 죽음에 이르른 사연을 품고 있다. 그런 ‘소련’이 ‘송효순’이란 남자를 사랑하지만 그에게는 아내가 있다. 원치 않았던 ‘최병서’와 급히 혼례를 치루지만 남편과 그의 모친은 ‘소련’을 학대하고 그럼에도 소련은 자기 삶을 게을리하지 않고 힘쓰는 여성이다.

호흡이 가장 길었던 <외로운 사람들>은 최씨 가문의 네 남매가 등장하는데 ‘순희’와 ‘순철’에 집중되어 있고 점차 이야기를 끌고 가는 것은 ‘순철’이다.
어머니를 버리고 새로운 삶을 꾸리는 아버지, 그 이유를 딸의 실패한 결혼 때문이라 변명하는데.. 순희도 순철도 모두 원하는 사랑을 하지 못하고 방황하고 고민한다. 그러나 역시 이 소설의 비극은 소외된 여성들의 죽음이다.

역시는 역시였던 박민정 작가의 <천사가 날 대신해>는 김명순 작가의 외로움을 공포로 구체화한다. 남편과의 불행한 결혼 생활, 알고 믿고 지냈던 관계 속에서 공격을 당하는 여성. 친구였던 ‘나’조차 ‘세윤’의 죽음으로부터 온전히 자유로울 수 있을까 하는 자기 직면, 남성뿐 아니라 여성에게조차 이해 받을 수 없는 여성의 현실, 그것은 다름아닌현대 여성들의 공포였다. ‘여자의 적은 여자다’라는 말을 꾸준히 반복했던 나 또한 온전히 누군가의 고통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을까, 자꾸만 스스로에게 물어보아야 했다. 박민정 작가의 소설을 빠져들듯 읽었으나 그것을 단지 재미라고만 말할 수 없는 것은 바로 그 때문이었다. 나와 우리를 돌아보는 과정이 절실하게 다가온 작품이었으니까.

이 시리즈에서 또 반드시 주목할 것은 현대 여성 작가의 소회를 밝힌 ‘에세이’다. 김명순 작가의 글을 어떻게 이해하게 되었는지는 물론 작가로서 스스로 감회를 밝히고 대면하는 일에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자기가 믿어온 어떤 부분을 수정하면서 그대로 받아들이는 일이 되기도 한다. 작품이 여성 작가의 인생과 결부되어 해석되는 것을 경계해 온 박민정 작가에게, 김명순 작가의 서술 방식은, 그녀가 외부의 시선과 편견을 감내하고서라고 취해야만 하는 전략이었다고 인정하게 만든다. 그렇게 해서라도 시대와 사람들의 부정과 그름을 드러내고자 하는 김명순 작가를 온전히 이해하고 수용하며 그의 작품이 꾸준히 읽히기를 바라는 박민정 작가의 마음을 감탄하지 않을 수 있을까.
문학이 문학을 만날 때 안되는 일이란 없는 것일지도 모르겠다고 생각해 본다. 우리를 살려내는 일에 문학이 있다고도 믿는 순간이다.


<292p 앞으로 우리가 살아갈 세상에선 선역도 악역도 여자야. 우리가 남자들이랑 깊은 관계 맺을 일 있어? 너나 나나 조심해야 하는 건 이제 남자가 아니라 여자라고. >


<본 도서를 제공 받아 주관적으로 후기를 썼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