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을 지나가다 소설, 향
조해진 지음 / 작가정신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겨울을지나가다 #조해진 #작가정신 <도서 협찬>
.
.
이 시기쯤이 되면 겨울의 신호들을 몸과 마음으로 느낀다. 다시 또 오고야 말았네 이 겨울이 하면서, 피부를 파고드는 추위의 바람과 가슴에 묻었지만 결코 영원히 묻히지 않는 존재의 기억과 아픔을 다시 꺼내들며 겨울을 맞는다. 아무것도 할 수 없었던 무력한 겨울을 기억하기에, 발목을 붙잡듯 내내 며칠간 내리던 비 내리던 날들을 원망하면서 다시 반복되는 겨울을 어쩔수 없이 통과하는 마음이 된다.

그렇게 두렵고 아픈 겨울을 버티는 것이 일이 된 내게, 겨울의 초입에 이 책이 왔다. 항상 지나서야 뭔가를 조금 알게 되는 것일까 그런 생각이 든다. 옆에 있을 때 알지 못하고, 그때 그 순간 최선을 다하지 못하고, 당장의 일상만을 위해 내 삶의 우선순위들을 좇아가며 사느라고, 소중했지만 진정 마음을 다하지 못했던 것들을 시간을 흘려보낸 이후, 깨닫고 후회하며 살아간다. 그렇게 시간을 흘려보낸 이후에야 조금씩 변화하면서 조금은 덜 어리석게 살아가는 것인지 모른다.

소설을 읽으며 겨울을 함께 지나고 있는 나의 엄마를 생각했다. 엄마라는 존재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것이 딸의 숙명일지도 모르겠다. 그래서일까. 엄마의 이야기는 아프고 두려운 마음이 되고는 하는데, 이 소설을 읽으며 나는 ’정연‘을 바라보는 정연이었다. 엄마와의 추억, 엄마의 투병, 떠나보낸 엄마와 그 이후의 시간, 삶과 죽음의 양갈래 모두에서 엄마의 존재를 느끼는 정연의 삶의 흐름들은 언젠가 내가 치르게 될 시간들이기도 했다. 마지막을 준비하는 그 마음, 그리고 결국 ‘영원히’로 지속될 작별의 시간을 통과하며 그 두렵고 그리운 시간들을 정연이는 엄마의 집에서 살며, 엄마의 옷을 꺼내 입으며, 엄마의 화장품을 바르며, 엄마가 만들어 놓은 김치를 곁들여 엄마의 식당에서 칼국수를 만들어 먹으며, 엄마가 돌보다가 결국 가족이 된 개 ‘정미’와 살아간다.

죽음의 이 편에서 나의 자리를 지키는 삶을, 엄마를 간직한 채 엄마의 생전 삶의 공간에서 살아가는 정연의 별다를 것 없는 삶의 시간들이 좋았다. 우리는 삶의 절망을 품고 무너진 채로 다시 뚜벅뚜벅 살아간다는 것을, 함께 했던 시간들을 위안삼아 또 그렇게 견디어 살아가고 있다는 것을 소설은 그려보인다. 그것이 인간에게 주어진 또 하나의 삶의 의무라는 듯 정연을 천천히 일으켜 세운다. 사람을, 삶을, 마음을 이해하고 보듬어가는 작가님의 따뜻한 문장들이 너무나 애틋했고 고마웠다. 역시는 역시네 그랬다.

엄마를 보내기 전 정연의 그 복잡한 마음에, 눈물이 날 것 같은 마음으로 엄마라는 존재를 생각했는데 슬프지만 결과적으로 온전히 슬픈 것만은 아니었다. 그것은 정연을 삶의 방향으로 다시금 일으켜세우는 것들 때문이었다. 정미, 엄마의 물건들, 동네 사람들과 동생 미연네 가족, 엄마의 김치와 식당 그리고 칼국수.

이 소설이 지금처럼 언젠가의 나에게 빛을 주리라는 것을 깨달으며 마침내 존재와 부재의 그 방식에 대하여, 양립할 수 있는 그 이치에 대하여 배울 수 있었으니 겨울의 문턱에서 슬프지만은 않았다. 소설이 그저 소설일리 없다. 작가님의 글을 읽을 때 늘 마음으로 배우기 때문에. 그리고 다시 잘할 수 있을 것 같기 때문에.
.
.
132p 부재하면서 존재한다는 것, 부재로써 현존하는 방식이 있다는 것, 이번 겨울에 나는 그것을 배웠다. 슬픔이 만들어지는 계절을 지나가면서, 슬픔으로 짜여졌지만 정작 그 슬픔이 결핍된 옷을 입은 채, 그리고 그 결핍이 이번 슬픔의 필연적인 정체성이란 걸 스스로 깨달으며…… .
.
.
<본 도서를 제공 받아 주관적으로 썼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