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엔 마진이 얼마나 남을까 - 작가정신 35주년 기념 에세이
김사과 외 지음 / 작가정신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엔마진이얼마나남을까 #작가정신 <도서 협찬>

현역 작가 23인의 소설 생각, 소설에 대한 마음들.
읽고 쓰고 또 쓰고 써야만 하는 삶을 사는 마음들.
그것이 일이고 직업이고 일상이며 에너지의 원천이자 삶의 동력이기도 하다는 것은, 어쩐지 쓰는 분투를 묵묵히 받아들이며 계속 사랑하며 애쓰는 작가들의 마음이어서 애틋한 목메임으로 한 편 한 편의 목소리를 들었다.

어쩌면 작가들에게 산다는 것은, 쓴다는 것으로 대체되어 온통 쓰는 일만으로 하루가 시작되고 또 시작되는 것은 아닐까. 끝나지 않는 분투, 끝나지 않는 이야기, 계속 시작되는 이야기.
그러므로 계속 쓰는 사람으로 결코 녹록치 않은 ‘쓰는’ 일을 이어나가는 일은, 그저 독자인 나로서도 써지지 않을 때의 암담함이나 간절함을 헤아리는 것만으로 그들의 시간과 노력을 갈아넣는 그 애씀에 경도되는 것이다. 누군가의 절실하고 애틋한 열정에 덩달아 내 마음이 흔들리는 것은 특히 읽고 쓰는 사람들일 때 그렇다는.

스스로의 존재 이유가 그저 ‘쓰는 일’인 것처럼, ‘소설’인 것처럼,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 책의 그 ‘쓰고 써야만 하는 기운’은 그래서 나를 강하게 압도했다. 술술 써내려 가는 일의 반대편에는 쥐어짜내고, 계속 머리를 써야하고, 고착되는 지점이 무수히 더 많고 많을 테니까. 글을 써야 하는 마감 기한이 정해져 있고, 떠오르지 않는데 그럼에도 써야 하고, 그런 일의 지속적인 반복들. 그래서 작가의 쓰는 일은, 그들의 계속되는 글쓰기는 내 마음을 온통 흔든다.

그 쓰고 또 쓰는 그 기저에 깔린 소설에 대한 사랑, 간절함, 소설 속에 채워 넣고자 하는 삶의 감각들, 그것을 나누어 함께 하고 싶은 그 본의까지도 소설과 소설가를 사랑할 수밖에 없는 나의 이유다. 이 책에 담긴 23인의 소설에 대한 생각 그 기저에는 쓰는 삶과 일에 대한 사랑과 진심이 얽힌다. 그토록 사랑할 수 있을까를 온 마음으로 느끼는 것은 그래서 더 설레고 애틋하다. 그리고 그 마음의 너머에 더 큰 꿈을 꾸게 만든다. 열심히 읽고 또 읽어야 겠다는 의지, 작가와 내밀한 마음을 주고 받겠다는 진심, 작가가 만든 세계에서 희망하며 살고 싶다는 꿈. 그러니까 많이 부지런히 읽어야지.

이 책 속의 작가들의 책 리스트를 살피며 소설을 사랑한다면서 너무나 읽지 않은 나의 소설 읽기 실태의 반성과 함께 그 꿈을 펼친다. 이만하면 소설을 쓰는 사람도, 읽는 이도, 남고 또 남는 것이 많은 것 아닌가.
어느 때고 소설을 찾을 수 있고 한 권의 책을 펼치기만 한다면 만날 수 있으니. 작가의 세계도, 작가가 구축한 현실과 이상도, 우리 각자의 생각과 삶과 만나 익숙하고도 새로운 감각으로 삶을 대면할 수 있으니.

쓰고 계속 쓰고, 읽고 계속 읽는 삶. 소설가에게도 독자에게도 쓰는 맛, 읽는 맛의 중독은 그것을 알아버린 이의 희노애락이라고, 결국 그것은 우리의 삶이 되고 있다고, 이를 알고 있고 생각하고 움직여 행위를 하는 그 자체만으로도 우리는 남는 삶을 살고 있다고 믿는다. 동기는 다르게 시작되었을지라도 읽고 쓰는 것을 지속한다는 것은 오직 개인의 힘이고 열정이라고 믿기에 그 맛을 아는 사람들의 계속되는 사랑은 해보지 않은 사람은 절대 모르는 것이다. 읽고 쓰는 사람들은 그런 열정을, 사랑을 계속 이어 나가고 있다.
빠지면 헤어나올 수 없고, 사랑하지 않으면 걸어가지 않을 길, 읽고 쓰고 또 쓰는 삶. 그 열정은 나를 살도록, 살고 있음을 감각하게 한다. 그래서 끝까지 나는 그들의 쓰는 시간처럼 읽는 시간을 놓을 수 없다.

<본 도서를 제공 받아 주관적으로 썼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