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이로운 자연에 기대어
레이첼 카슨 외 지음, 스튜어트 케스텐바움 엮음, 민승남 옮김 / 작가정신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이로운자연에기대어 #작가정신 <도서 협찬>

랠프 월도 에머슨의 에세이 <자연>이 촉발한, 경험도 직업도 다양한 작가들의 ‘자연’에 관한 스무편의 에세이들. 자연에 대한 각양각색의 목소리들, 그들의 특별한 자연 체험과 사유가 깃든 자연에 관한 기록들은 읽는 이를 다방면으로 뒤흔든다. 아찔해졌다, 두려워졌다, 경이로운 풍광에 대한 상상 속에서 희망을 품다가, 인간 책임감의 무게를 가늠해 보는.

묵묵히 존재해 주었고, 여전히 그럴 것이라는 전제 하에, 자연의 영원성을 확신하는 과오는 지금도 세계 곳곳 자연을 정복하고 훼손하기를 서슴치 않는 행위들로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우리 삶의 영원성에 대한 착각, 자연은 언제나 여기 우리 곁에 자리할 것이라는 그 무한의 신뢰가 자연에 대한 정복욕을 부추기고 있는지 모른다. 자연의 묵묵함을 영원성으로 치환하는 인간들의 무시무시한 오해의 늪, 착각과 무지는 진실 이상으로 섬칫하다.

이 책을 쓴 작가들은 그러한 사실들을 인지한 사람들이다. 자연이 주는 것들, 인간이 자연의 일부라는 진실, 자연의 풍요와 기쁨, 변화해야 할 인간들의 의무, 언제까지고 자연이 기다려주지만은 않을 것이라는 암울한 미래의 위기까지도 그들은 모두 안다. 인간의 마구잡이식 자연 정복의 대가가 인류의 파멸을 불러올 수 있다는 인식이 부족하다는 첫 시작의 에세이부터 두들겨 맞는 듯 했다. 기후 위기, 인류 멸종이 현 시대의 키워드로 부상하고 있는 현재에도 변함없이 자연이 주는 경고를 무시하고 질주할 것만 같은 인간의 본능을 잘 알기에 희망보다는 비관이 앞서는 마음이기도 했다.

하지만 자연을 이야기하는 이 책으로부터 자연을더 사랑하게 됐다. 자연에 대한 그들의 특별한 체험을 읽으며 자연의 경이를 느꼈고 인간의 시간 틀에만 살았던 내게 자연의 시간이라는 중요한 개념이 덧대졌다. 우리는 왜 인간의 시간만을 절대시하며 흘러 왔을까. 책에 등장하는 ‘브리슬콘 소나무’의 느긋한 성장을 읽으며 다른 시간을 사는 ‘자연의 시간’을 상상하며 그 경이에 흠뻑 취했다.
사소할 때조차 놀랍도록 아름다운 자연을 더 사랑할 이유들을, 이 책의 자연을 향한 외침 속에서 발견하고 또 발견할 수 있었다. 어떤 이의 체험처럼 연못 수영을 상상하고, 하늘 높은 곳을 날아가는 새들의 시간과 움직임을 생각하며 그 시간을 사는 존재의 ‘살아있음’을 생각했다. 오크나무의 생명력에 아찔했다가, 든든한 버팀목으로 많은 종들을 되살리는 그 나무에 고마움 얽힌 사랑을 느꼈다.

자연에 대한 진실의 서사를 담아낸 책. 이 진실 속에서 우리는 좀 더 정직한 삶을 꿈꾸게 될 것 같다.
있는 그대로의 자연을 응시하고 흠뻑 사랑하기.
우리의 사랑이 자연으로부터 받은 것을, 하루 하루 계속 받고 있는 것을 돌려주는 사랑이었으면 좋겠다.
그리고 어쩌면 자연에 대한 답은 하나일테지.
자연과의 공존을 위해, 자연의 일부인 인간은 한 걸음 물러서는 겸허함으로 삶을 대할 것. 무책임의 굴레를 벗어 던져 지리멸렬에서 자유로워질 것.
우리는 자연에게 권리의 목소리보다 의무를 다져나갈 할 책임이 있다. 이 책에서 발견한 답은 무엇보다 이것이다.

<본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썼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