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원은 무엇으로 사는가 - R&D 경영인이 말하는 조직 문화로 혁신하는 길
유진녕.이성만 지음 / 미래의창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업을 구성하는 여러 기능이 있다.

마케팅, 영업, 제조, 생산, 기획, r&d, 등...


그 중에서 제조업의 경쟁력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은 '기술 역량'이다.

제조업의 지속적인 경쟁력의 원천은 공장 현장의 생산 기술과 r&d에서 온다.


LG화학은 소형 2차 전지 시장에 빠르게 진입하여 관련 분야에서 세계 1위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후발자가 매섭게 쫓아오는 무한 경쟁 시대에서 여태껏 사용했던 전략이 지속적인 성장을 담보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기술 혁신'을 위해서는 '선도형 제품 전략'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떻게 '전략 수립'에 나서야 할까?


'기술 혁신'을 주도적으로 해야 하는 '연구원'의 특성을 바탕으로 조직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


자율적인 분위기를 좋아하고 관리 감독을 싫어하는 연구원의 특성을 고려하여 자율적 조직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


내부나 외부에서 자율의 문화를 방임의 문화로 여기지 않도록 세심한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연구원은 고도의 기술 개발 활동에서 자아를 성취하고 조직의 방침이 자신이 설정한 목표에서 벗어날 때 일에 흥미를 잃는다.


그러므로 연구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신 기술이나 연구원들이 관심 두는 기술을 연구하도록 장려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한편 회사에 대한 충성심보다는 연구원 집단의 원칙과 윤리 의식에 더 충실한 연구원의 특성을 고려한다.


원칙 중심으로 조직을 운영해야 하고, 공유가치를 정해 연구원과 리더들 모두가 이를 지켜나가야 한다.


만약 원칙이 잘 지켜지지 않는다고 느낀 연구원이 있다면 이를 경영층에 이의 제기 후 개선을 요구할 수 있는 채널도 마련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