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스킷 - 제1회 위즈덤하우스 판타지문학상 청소년 부문 대상 수상작 텍스트T 7
김선미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서적인 상처를 받기 쉬운 사람들은 일명 '쿠크다스 멘탈'이라며 부서지기 쉬운 비스킷의 이름을 넣어 별명을 만든다. 존재감이 약한 사람을 일컫거나 누군가의 존재를 무시할 때 '투명 인간'에 빗대어 이야기하곤 한다. 이 책의 모티브도 비슷할 것이라고 생각이 드는데, 이 책의 주인공이 '비스킷'이라 부르는 사람은 '자신을 지키는 힘을 잃어 눈에 잘 보이지 않게' 되었거나 '존재감이 사라지며 모두에게서 소외된 사람' (p.7)을 말한다.


책의 주인공은 청각이 뛰어나서 눈에 잘 보이지 않게 된 '비스킷'을 소리로 인지한다. 주인공을 비스킷을 발견하면 그를 구하기 위한 방법을 찾아내려고 애쓴다. 왜냐하면 사람들이 존재감을 잃어버리고 스스로도 존재 가치가 없다고 생각하게 되는 이유는 사람들의 수만큼 많기 때문에 그 사람만의 존재의 이유를 찾을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하기 때문이다.


주인공이 말하는 '비스킷' 현상을 믿어주는 친구들이 있어서 친구들과 함께 구출작전을 펼치곤 한다. 함께 행동하는 친구 중에 한 명도 예전에 '비스킷'이었고 주인공이 존재감을 찾아주어 이제는 더 이상 비스킷 상태가 아니게 되었다. 책의 마지막에는 가정학대로 인해 세상에서 존재를 거의 지워버린 아이를 구출하기도 한다.


이 책은 제1회 위즈덤하우스 어린이청소년 판타지문학상 청소년 부문 대상을 수상한 작품이다. 심사위원 대부분이 청소년이었다고 하는데, 책을 읽어보면 청소년들이 이 책을 선정한 이유를 쉽게 알 수 있다. 학교폭력과 왕따, 괴롭힘 문제가 사회 문제로 거론될 만큼 점점 심각해지는 시대에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고자 분투하는 청소년들이 집단과 가정 내에서 겪는 고민과 어려움을 매우 잘 이해해 주는 저자의 글에 많은 청소년들이 위로를 받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사라지는 존재감과 소외의 문제는 비단 청소년의 문제만은 아니다. 성인이라도 충분히 겪을 수 있는 문제이고 우리나라의 두터운 소외계층을 형성하고 있는 노인들에게도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문제다. 인간은 독립적으로 존재하지만 나의 존재를 타인이 인지해 줄 때야 비로소 존재감을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사회 전반에 걸쳐 문제가 되는 소외 문제는 사회 구조적인 뒷받침이 반드시 필요하지만 주변의 관심이 없으면 해결할 수 없다.


주변을 돌아보고 내가 먼저 말을 걸고, 내가 먼저 안부를 묻고, 내가 먼저 어려움이 있는지 알아채려는 타인과 세상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상대적으로 나도 그런 관심이 필요한 한낱 인간에 지나지 않으므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