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의 공중부양 - 이외수가 처음으로 공개하는 실전적 문장비법
이외수 지음 / 해냄 / 200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쓰기의 공중부양


이외수 선생의 글...
이외수님의 글을 많이 읽지 않았지만 읽은 책마다 책장을 덮고나면 사람의 향기가 나에게 스며든다는  생각이 들었다. 분명 향기있는 글들이었다. 어떻게 글을 쓰기에 그렇게 향기있는 글을 쓸수 있는 것일까 궁금했다. 그래서 책이 내 손안에 들어왔다.
이런 궁금증도 있지만 글쓰기 자체에도 조금의 관심은 있다. 언젠가 글을 써야겠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미래의 어느 시점에 글을 쓰기 위해서는 미리 글쓰기에 관련된 책을 읽어두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책은 단순히 글쓰는 기술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적은 책이 아니다. 술보다는 심을 중시하고 있다. 옳은 말씀이다. 지극히 옳은 말씀이다. 기술이 뛰어난 것은 한계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보다 글쓴이가 어떤 마음가짐을 갖고서 글을 쓴가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처음 부분에 나오는 단어를 채집한다는 표현 ! 참 멋지면서도 정확한 표현이다. 단어를 채집한다. 매일 쓰는 말인데도 정확히 모르면서도 쓰는 단어들이 많은 것 같다. 단어를 하나하나 채집해서 자세히 들여다 보는 것. 단어를 제대로 채집하는 것은 글쓰기의 기본과 연관되어 있다. 모든 일에는 기본이 중요하다는 말. 이외수 할아버지의 이 말이 많이 와 닿았다.
'사람은 모름지기 기국이 커야되'라는 말을 하는데 이말은 기본이 튼실해야 한다는 말과 매우 통하는 부분이 있다고 생각한다. 기본이 튼실하면 기국이 크고 기국이 크다면 그 만큼 많은 것을 담을 수 있다.

하수와 고수에 대한 이야기도 많이 와닿는다. 하수는 고수를 측량할수 없다. 그러나 고수는 하수를 한번 보면 바로 알아채버린다. 부끄러우면서도 무서운이야기이고 조심스러운 이야기이다.

인물 표현에 있어서 오행에 의거해서 등장인물을 분류하는 것은 정말 탁월한 방법인 것 같다. 이분법적 구도보다는 훨씬 다양한 사람을 사실적으로 묘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소설속의 등장인물 뿐 아니라 현실의 사람들도 이 다섯 유형에 다 들어갈 것으로 생각된다.

맨 마지막에 나오는 '기문'이라는 사람의 체험담은 실천의 중요성을 생각하게 한다. 알면 뭐하나 실천으로 옮겨야지. 이외수님은 좋은 글을 쓰는 좋은 방법을 알려주었다. 그것을 치열하게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기문'이라는 사람이 다시한번 강조했듯이 내가 아닌 다른 사물의 입장에서 하루 한장의 글을 써보는 것은 필력을 높이는데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그나저나 난 언제 이방법을 실천할 겨를이 있을까
글쓰기보다는 지금은 내가 좋아하는 것을 좀더 열심히 하고 싶다.
언젠가 연필을 잡고 싶을때까지 글쓰기에 관련된 책을 읽으면서 기다려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