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 버린 사람들
나렌드라 자다브 지음, 강수정 옮김 / 김영사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도 버린 사람들

인도인의 삶은 어떤 삶일까? 같은 하늘아래 인도라는 나라에 살고 있는 사람은 어떻게 살아갈까 호기심이 있다.
회사 동료의 소개로 읽게 된 이책은 많은 부분 나의 호기심을 충족시켜주었으며 어느 곳이나 살아가는 삶은 비슷하다는 생각을 다시한번 하게 되었다.

나는 나렌드라 자다브의 성공신화로 생각하고 글을 읽기 시작했다.
기대와는 달리(?) 이 책의 대부분은 작가의 아버지와 어머니의 삶을 풀어가고 있다.
그러나 아버지 어머니의 이야기는 저자가 상상해서 적은 것이 아니라 아버지의 회고록을 기반으로 적은 것이라는 것을 프롤로그를 통해서 알수 있었다.


난 인도가 카스트 제도가 있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수드라계층보다 더 낮은 계층인 불가촉민이 있다는 것은 이 책을 읽고 처음 알았다. 신분제도는 우리나라에도 있었으며 전세계의 대부분의 나라에 신분제도가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러나 지금은 적어도 제도적으로 신분제를 유지하고 있는 나라는 없다. 모두 평등사상에 기초에서 사회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인도는 특수하게 종교에서 계층을 구분해 놓았기 때문에 지금도 여전히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수천년동안 선조들이 믿어왔던 종교이지만 현실에 적용하기에는 너무 구시대적인 유물이라는 생각이 든다. 전생윤회로 업의 법칙에 의해 불가촉민의 신분으로 태어났다 하더라고 현생에 많은 복을 지으면 신분을 옮길 수 있어야하는 것이 이치라고 생각이된다. 이치에도 안맞는 부분이 있다는 생각이 든다. 흰두교에 말이다.


투명한 유리로 막힌 벼룩 이야기가 떠오른다. 유리를 제거하고 나서도 그 이상을 벼룩이 뛰지 않는다는 일화말이다. 자신이 만든 틀이 무섭다는 생각이 든다. 자신이 갖고 있는 고정관념은 자기 스스로 깨기가 어렵고 그것이 자신의 발전을 막아버린다. 그러나 세상은 훨씬 넓다. 트인 생각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마지막 에필로그에 작가의 이야기와 작가의 딸의 이야기가 간략하게 실려있었다. 세대가 변하면서 신분제도에 대한 생각이 많이 약화되고 있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는 글들이다. 절대 부서지지 않을 것 같은 신분제가 무너지는 모습을 보면서 세상이 정말 크게 변화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이 책을 읽으면서 인도인의 사회의 모습 조금이나 알 수 있어서 좋았다.
세상을 보는 시선이 조금더 넓어진 느낌이랄까
강력 추천하고 싶은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