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머리로 생각하는 역사 이야기 - 거꾸로 읽는 책 25 ㅣ 거꾸로 읽는 책 25
유시민 지음 / 푸른나무 / 2005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세상살이는 참 복잡하다. 얽히고 설키고 뒤엉킨 실 뭉치를, 다른 실 뭉치와 또 한 번 엉클어 놓은 것. 이것이 세상의 모습 아닐까. 그 속에도 얽히고 설켜 서로 연결하는 원칙이 있을까. 이렇게 복잡한 세상이 수천수만 년을 흘러왔다. 수많은 시간 속에 뿌려진 흔적들, 그것을 사람들은 역사라 부른다.
우리는 친구의 진심을 오해하고, 애인의 진실한 사랑을 의심하기도 한다. 공부에만 전념하는 줄 알았던 자식이 엉뚱한 곳에 정신이 팔려 있는 걸 알고 놀라기도 한다. 그렇다. 같은 시대를 사는, 가까운 사람들이 하는 일, 품고 있는 속마음조차도 제대로 알지 못해 속기도 하고 오해하기도 한다. 멀리 볼 것도 없이 진실은 파묻힐 때가 많다.
하물며 100년, 1000년 전에 일어난 일이야 오죽할까. 그 옛날에 일어난 혁명, 전쟁, 반란 등 갖가지 역사적 사실을 우리는 올바로 인식하는 걸까. 그 많은 시간이 지나오는 동안 수많은 역사가들은 역사를 꾸밈없이 기록하고 바르게 해석한 것인가.
이런 시각으로 『내 머리로 생각하는 역사 이야기』(유시민 저)는 역사 이야기를 시작한다.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많은 역사적 사실을 다소 삐딱한 시선으로 쳐다본다. 그리고 이 삐딱한 시선은 중고등학교 역사 교과서에 제일 강렬하게 꽂힌다. 제일 못난 역사책이라고 못 박는다.
이 책을 만난 것은 알라딘에서 『후불제 민주주의』를 살펴보면서다. 책 소개와 함께 저자와 독자의 만남 영상이 있었다. 그 영상에는, 냉정하고 날카로워만 보이던 정치인 유시민이 아니라 따뜻한 생각을 하고 옆집 아저씨 같이 소박한 웃음을 짓는 유시민이 있었다. 유시민이 하는 생각을 좀 더 알고 싶었다. 자연히 이 사람이 쓴 책에 관심이 갔다. 몇 가지 책제목을 머릿속에 넣고 도서관에 갔다. 이미 대출해 가버려 책이 별로 없었다. 겨우 찾은 것이 이 책이다. 대한민국 대표 진보 논객답게, 지금은 아니지만 대표 진보 정치인답게,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악습과 폐단을 끊임없이 들추어낸다. 불완전함과 미완성을 참지 못한다. 그것이 더 나은 세상으로 향한 진보를 만들지 않겠는가 생각한다.
유시민의 진보적 사고는 이 책에도 여지없이 드러난다. 아무 거리낌 없이 받아들이는 역사관부터 따지고 든다. 승자의 눈이 아닌 패자의 눈으로 본 역사도 중시한다. 역사를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힘을 길러야 한다고 역사가들을 독려한다.
지배자의 역사뿐 아니라 일반 민중의 삶도 소중하게 기록한, 사마천의 『사기』를 칭찬한다. 실증주의의 틀로 역사를 인식한 콩트, 원래 있었던 사실을 중시한 랑케, 계급 간에 대립과 투쟁으로 역사는 굴러간다고 하는 마르크스 등 굵직한 역사가들의 역사관을 곁들이며 역사를 논하기도 한다.
사상이든, 과학이든, 학문이든, 어느날 생뚱맞게 나타나는 것은 없다. 이미 나와 있는 것을 비판하기도 하고, 계승하기도 하면서 새로운 것이 나온다. 역사가들이 역사의 개념을 정의하는 과정도 마찬가지였다. 계몽사상가와 실증주의 역사가들을 정면으로 반박한 랑케, 실증주의 역사가들이 찾으려 했던 '역사 법칙'을 자신의 방식으로 세우고 노동자 계급에서 보는 '정치적 당파성'과 과학적 역사를 조화시킨 마르크스.
역사에서도 따지고 비판할 것은 해서 응당한 대가를 치르게 해야 한다고 저자는 주장한다. 잘못을 돌아보지 않고 반성하지 않고 막무가내로 사는 사람에게 희망이 없듯, 과오를 살피지 않는 역사에도 진보, 발전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