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완벽한 가족을 만드는 방법 ㅣ 창비청소년문학 119
정은숙 지음 / 창비 / 2023년 7월
평점 :
완벽한 것은 더 나아지는 것
가족은 애증의 관계다. 사랑하면서 미워한다. 서로 지켜줘야 할 사람이면서 잠시 떨어져 있으면 편안하다. 함께 살아가고 있는 가족 중 누군가에게 사소한 문젯거리가 생겨서 그 파장이 다른 가족에게도 영향을 끼친다. 또 가깝거나 먼 친인척의 일로 즐거움이 생기거나 불이익이 생기기도 한다. 하지만 ‘완벽한 가족을 만드는 방법’이 있다. 완벽해지는 것이 아니라 지금보다 더 나아지면 된다. 완벽한 것은 스스로 더 나아지는 것이다. 그리고 내 자리를 지키면서 내 행복을 찾는 것이 완벽한 가족을 만드는 방법이다.
부유했던 선빈의 가족은 아빠 회사의 부도로 정반대의 일상을 살아가게 된다. 아빠는 구치소에 수감되고 엄마는 전세 사기를 당하는 등 어려움에 직면하고 일자리를 찾아 다니게 된다. 또한 선빈은 자신이 소유하고 있던 명품 등을 중고 마켓에 팔고 꽃집 알바 등을 하면서 용돈을 마련한다. 소극적인 일상은 블로그에 글을 쓰며 해소하고 그나마 학교 동아리에서 만난 주민하와 강승진의 도움으로 학교생활을 유지해 간다.
아빠 회사 부도라는 최악의 상황에 직면한 선빈 가족은 이전의 일상이 아닌 다른 상황에서 새로운 사람과 공간을 접하게 된다. 그 곳에서 선빈은 ‘세상’에 대해서 알아간다. 전세 사기, 경단녀(경력단절여성), 반지하 주거 공간, 가습기 살균제 사건, 재벌 3세 갑질 사건 등을 남의 일이 아닌 내가 아는 사람의 일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불행은 누구에게라도 일어날 수 있으므로 누군가의 몫이라고 여겼던 불행을 함께 나눠야 하는 일이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완벽한 가족이 되려면 각자가 맞닥뜨린 고통과 쪽팔림을 외면하지 않고 함께 헤쳐 나가면서 살아가면 된다. 나를 지지하고 응원해주는 친구가 가족일 수도 있고 스스로 나아지려고 노력하는 누군가가 내 가족이 될 수도 있다. 정은숙 작가는 내 일이 아니라고 무관심했던 누군가의 불행을 선빈의 이야기로 엮어, 가족이 무엇인지, 누가 가족이 될 수 있는지, 이 시대를 함께 살아가는 사회구성원이 어떻게 가족으로 만날 수 있는지 생각해 보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