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장자리에 오른다는 것 - 재능만으론 사장이 될 수 없다 CEO의 서재 24
아타라시 마사미 지음, 박재영 옮김 / 센시오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는 개인적으로 자영업을 하고 싶은 생각이 1도 없습니다. 그래서 제가 사장님이 된다는 생각을 한번도 해본 적이 없습니다. 그런 제가 이 책에 관심을 갖게 된 이유는 오롯이 현재 우리 회사의 오너는 과연 어떤 입장일까? 그런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그리고 평생 직장이 없어진 요즘 언젠가 저도 오너가 될 수 있지 않을까? 라는 막연한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어느 회사는 오너가 누군가에게 존경을 받는 만면에 어느 회사는 오너가 매우 비난을 받습니다. 우리나라 대기업만 해도 천차만별입니다. 그렇다면 과연 사장이라는 자리는 어떤 사람이 앉아야 할까요?

가장 인상이 깊었던 문구는 사장은 직원에게 영감을 줄 수 있는 사람이라는 점입니다. , 사장은 회사의 매출도 중요하지만 그 매출을 만들어 낼 직원을 육성하는데 힘써야 한다는 점입니다. 저희 회사에서 사장님이 교육을 강조했을 때 무슨 회사에서 공부가 필요하지? 라는 생각을 했었던 것이 사실입니다. 그냥 직원들이 자신이 있는 자리에서 일을 하다 보면 당연히 업무를 알게 되고 이 업무를 문제없이 해결하면 될 거라 생각했습니다.

아마 이런 사장님 마인드 덕분에 저희 회사는 중소기업임에도 불구하고 오랫동안 제조업으로써 존속할 수 있지 않았나 싶습니다. 회사에 불만이 많은 직원들은 정말 많습니다. 사장님은 물론 윗사람들이 불합리하게 느껴질 때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그 자리에 있어보면 그들만의 이유가 분명 존재합니다.

우리도 지금은 사장이 아닐지라도 우리가 사장이 될 수도 있고, 또한 현재 내가 있는 회사의 사장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사실 회사에 불만이 조금 있었던 저는 조금은 사장이나 윗사람의 입장을 이해해 볼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그리고 혹여나 나중에 면담할 일이 있다면 어떤 점을 개선했으면 좋겠는지 그 방향성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었습니다. 누구나 불만은 있을 수 있지만 그것을 원만하게 해결할 필요성도 있습니다.

다른 책에 비해서 재미있게 읽었다기보다는 뭔가 생각이 많아지게 하는 시간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