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읽고 글쓰기 - 서울대 나민애 교수의 몹시 친절한 서평 가이드
나민애 지음 / 서울문화사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관에서 책을 빌리거나 구매를 하려고 할 때 보통 책 제목만 보고 선택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런데 책 제목만 보고 결정을 하다 보니 실제 기대했던 내용이 다른 점이 많아서 언제부터인가 서평을 찾아보기 시작했습니다. 서평이 때로는 내용을 스포하게 되어서 꺼려졌었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저 또한 다른 분에게 도움을 드리고자 서평 작성을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서평 작성한지 몇 년 흐르면서부터는 내가 제대로 서평을 쓰고 있는지가 의문이었습니다. 사실 다른 사람들 서평을 보면서도 작성 방법도 각양각색이라서 어떤 것이 정석인지가 궁금했습니다.

저자는 서울대학교에서 서평관련 교양강좌를 강의하고 있습니다. 제대로 서평을 쓰고 있는 사람이 없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았던 것 같습니다. 서울대학교라 함은 대한민국에서도 인재들만 모여있는 학교임에도 불구하고 이런 현실이 놀라웠을 것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중, 고등학교 시절에 제대로 된 서평을 쓸 기회가 없습니다. 그나마 독서를 장려하기 위해서 독후감을 많이 씁니다. 저 또한 마찬가지였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서평을 독후감형식으로 쓰게 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고 저자는 설명합니다. 이 이야기에 저도 백 번 공감합니다. 저 또한 그랬기 때문입니다. 저자는 바로 이런 현실을 정확하게 인지하고선 서울대학교에서 이 강의를 시작하였습니다.

초반부는 서평이란 무엇인가? 바로 이 본질적인 질문에서부터 시작합니다. 학생들도 이 챕터를 가장 견디기 어려워한다고 합니다. 어떤 것이 됐던지 가장 기본적인 이론이 쉬운 듯 하면서도 대충 아는 것 같은 착각으로 인해 지루함을 느끼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실제 읽어보면서 이제까지 내가 서평을 어떻게 잘못 접근했는지 앞으로 어떻게 서평을 작성하면 좋을지를 정리해 볼 수 있습니다.

 보통 서평을 쓰는 목적이 자신의 독서록을 남기는 목적이라면 이 책을 굳이 읽을 필요는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저와 같이 누군가에게 책을 안내하고자 도움이 되고자 한다면 제대로 된 서평을 공부한 뒤에 가독성 좋은 서평을 쓰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지금 이 글을 쓰면서도 과연 제대로 서평을 쓴 건지 자꾸 돌아보게 합니다. 언젠가는 다른 분에게 서평이 큰 도움이 되었다는 댓글을 접하는 그 날을 기대해 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