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의 역사 - 세계 경제를 결정하는 5대 머니게임
우야마 다쿠에이 지음, 신은주 옮김 / 더퀘스트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Read a book 228

부의 역사

우야마 다쿠에이 지음

신은주 옮김

더퀘스트

세계 경제를 결정하는 5대 머니 게임 부의 역사 이 책은 종교와 부 그리고 경제적 변화에 대한 얘기를 들려주고 있다. 모든 것은 막대한 부를 축척하기 위한 인간들의 욕망 그리고 그것을 합리화하기 위해 종교를 등에 업고 공감대를 형성했던 것 같다.

이 책의 작가 우야마 다쿠에이는 우리는 종교와 경제를 밀접한 관계를 역사 속에서 풀어가며 무종교라고 하는 독자들에게도 부의 역사에 대해서 알아야 필요성을 얘기하고 있다.

각 종교의 특성과 그 종교가 갖는 가치에 대해서 이야기함으로써 그들이 추구하는 것들이 무엇인지 또 얼마의 인구 분포가 되었는지 경제 흐름에 대해서도 이야기해주고 있다.

중간중간 Must Word, Must person, Must Affairs를 삽입해서 용의 정의를 간략하게 정리하여 보여줌으로써 이해도를 높여주고 있다.

                            

전체적인 종교안의 부의 역사의 스토리는

#크리스트교(예수그리스도를 믿는 카톨릭교, 개신교, 정교회를 모두 아우른다.)

가난한 자들의 혁명, 유교, 시대를 추월한 경영마인드

#십자군 전쟁으로 발전한 지중해 교역 인도차이나 무역 중심, 아코르 와트

#신이 허락한 욕망의 시작, 소버린 경영자 칼뱅과 자본주의의 발달

#미국 건국, 신념을 이긴 현실 경제, 유교에 잠식당한 청나라의 경제발전

#유대인의 움직이면 세계가 움직인다. 마지막 남은 거대 시장, 이슬람

경제만으로 역사를 이야기 한 책들은 많이 있지만 종교 관점에서 경제를 이야기하고 반대로 경제 관점에서 종교를 이야기한 책은 처음 접해보는 것 같다.

종교와 경제는 밀접한 관계를 갖고 성장해 왔던 것을 알게 되고 특히 그 나라의 종교에 따라 그 종교가 갖는 경제의 판도가 바뀌게 되는 것 같다. 어찌 보면 그것은 그 나라의 국민성과도 연결되고 있다. 우리가 생각하는 유교에서부터, 불교, 힌두교, 이슬람, 크리스트교 등 그 종교에서 느껴지는 감정들이 대부분 그 나라의 역사를 만들고 그 나라의 경제의 형태를 이뤄가고 있는 것이 이야기한다.

또한 종교 권력자들의 타락으로 인해 혁명으로 그리고 그 나라의 종교 변화도 새롭게 보이는 것이 흥미로운 것 같다.

그러나 논리와 도덕으로 선악을 판단할 때 모든 인간이 명명백백하다고 받아들이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인간의 의식 속에 이를 반복해서 새기 위한 제도나 의식이 필요합니다. 이런 필요에 응할 수 있는 것은 종교밖에 없었습니다.

크리스트교와 이슬람교가 붙었던 십자군 전쟁처럼 다른 종교 사이의 전쟁도 빈번했습니다. 이런 종교전쟁도 그 본질을 보면 신앙을 둘러싼 다툼에서 시작한 것이 아닙니다. 경제적 이해관계의 대립에서 시작했습니다. 신앙이라는 이유는 나중에 붙은 것에 지나지 않습니다.

부의 분배를 둘러싼 이권 다툼은 다양한 형태의 종교전쟁으로 나타났습니다.

7세기 통일왕조 시대가 끝나고 보호자를 잃어버린 불교는 인도에서 급격하게 쇠퇴합니다. 현재 약 12억 인도 인구 가운데 힌두 교도는 80.5%, 이슬람교도는 13.4%인데 비해 불교도는 0.8%밖에 되지 않습니다. 불교를 대신해서 힌두교가 융성했고 힌두교의 다신교적 세계관 속에서 각지에서 독립한 지방 정권이 난립해 인도는 분열 시대로 들어갑니다. 16세기 이슬람교를 내건 무굴제국이 등장하고 나서야 인도는 통일됩니다.

그러나 이슬람권에는 산유국이 많고 석유 수출로 벌어들인 거액의 오일머니는 국부펀드에 들어 있습니다. 국부펀드는 GDP에는 나타나지 않는 유동 자급입니다. 이슬람 국가들의 국부펀드를 모두 더하면 5억 달러가 넘는다고 합니다. 이 정도 규모의 거액 펀드가 어떤 의도를 갖고 세계 금융 시장을 움직이면 그 영향이 어는 정도일지 가늠할 수 없습니다.

일본은 메이지유신 이후 프랑스와 독일 법률을 거의 그대로 가져와서 일본 법률을 만들었습니다. 메이지 시대에 제정된 법문, 특히 민법은 오늘날 현행법으로 계승됐습니다. 일본도 알게 모르게 크리스 고의 논리에 큰 영향을 받은 것입니다.

르네상스시대에는 세계관이 신 중심에서 인간 중심으로 전환했습니다. 또 과학이 발전하면서 신의 절대성이 붕괴됐고 그 대신에 왕이 신의 대리인으로서 현실을 통치할 수 있는 정당성을 부여받았습니다. 왕의 권력은 신이 주신 절대적인 것이라는 생각이 왕권신수설로 나타난 것입니다.

베버는 칼뱅이 영리 추구와 재산 축적을 인정한 것이 자본주의 정신 기반이 되었고 유럽의 근대화를 지탱했고 또 자본주의 사회가 발전하는 원리가 됐다고 이야기합니다.

청교도 (Must Word)

영국의 신교 프로테스탄트 신도는 모두 평등하며 교회 성직자를 신도보다 위에 두는 것을 인정하지 않았다. 가르침을 전달하는 사람을 목사라고 불렀고 사제와 사교라고 불은 성직자는 없었다. 가톨릭교회와 다르게 신분의 수직적인 서열을 인정하지 않았고 영국국교회가 가톨릭 식으로 교회를 조직을 운영하려는 것에 반대했다.

18세기 말 사회가 근대화되면서 합리주의와 과학주의가 퍼져가는 가운데 신앙은 비과학적인 것이며 시대에 뒤쳐진 것으로 여겨졌습니다. 혁명파는 합리주의를 받아들인 사람들을 통해서 자신들의 혁명 사상을 사회에 아리려고 받아들인 사람들을 통해서 자신들의 혁명 사상을 사회에 알리려고 했고 이성이나 과학으로 새로운 번영을 구축하겠다는 이상을 불태웠습니다.

이 글은 서평단 활동으로 도서를 지원받아서 작성한 글입니다.

[부의 역사 /우야마 다쿠에이 지음/신은주 옮김/ 더퀘스트]

https://blog.naver.com/qqwpp655/22224604597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