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미 수업 - 슬픔을 이기는 여섯 번째 단계
데이비드 케슬러 지음, 박여진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Read a book 191

의미 수업 (슬픔을 이기는 여섯 번째 단계)

데이비드 케슬러 지음 / 박여진 옮김

한국경제신문 출판

이 책은 많은 사람에게 권하고 싶은 책이다.

어찌보면 죽음에 대한 내용의 책일 수도 있다.

죽음은 이별이고 슬픔이다. 이것을 이겨내는 방법과 마음의 치료를 이야기 한다.

이책을 읽으면서 사례들 경험들의 이야기가 나의 눈에 눈물과 감정이 계속해서 오르게 한다. 이책은 죽음으로 슬픔을 겪은 사람, 그리고 준비하고 있는 사람, 사랑하는 사람이 있는 사람, 아이가 있는 부모, 부모가 있는 자녀,.... 많은 사람들이 읽어보아야 할 내용인것 같다. 죽음이란, 이별이란 남의 이야기 같지만 어찌보면 나의 이야기다.

데이비드 케슬러 작가 역시 사랑하는 자녀를 먼저 하늘로 보냈다. 슬픔과 애도의 전문가 이지만 자녀를 먼저 하늘로 보내는것은 받아들이기 어려운 문제인것을 보여준다.

로그는 인간이 죽음을 맞이하는 과정을 다섯 단계로 나눈 것으로 유명하다.

그 다섯 단계란 잘 알려진 것 처럼’ 부정-분노-타협-우울-수용 이다

부정: 당면한 상실에 대한 충격과 불신 단계이다.

분노: 사랑하는 누군가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대한 분노 단계

타협: ‘만약’이라는 가정과 후회가 가득한 단계

우울: 상실에서 비롯된 슬픔으로 우울한 단계

수용: 상실을 현실로 인지하고 받아들이는 단계

위의 글처럼 일반적인 내용과 이책에서 얘기하고자 하는 여섯번째 이야기 의미이다. 현실에서 의미를 찾고 치유하는 단계를 얘기하고 있다. 일반적인 단계에서 의미를 찾고 회복하고 사랑이란 무엇인지를 알려주고자 한다.

"그렇다면 어떤 의미를 찾을 수 있는가? 매우 다양하다. 이를테면,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했던 추억을 떠올리며 감사할 수 도 있고, 사랑하는 사람을 기리고 기념하는 방법을 찾을 수도 있으며, 짧고 소중한 삶의 가치를 깨닫고 이르 발판 삼아 중요한 변화를 만들어 낼 수도 있다."

“지금 슬픔에 빠져서 계신 거 잘 알아요. 앞으로 한동안은 그 슬픔 속으로 계속 가라앉을 거예요. 하지만 언제가는 바닥에 닿아요. 그때가 되면 결정을 내려야 해요. 당신은 계속 바닥에 머물러 있을 건가요, 아니면 바닥을 박차고 다시 수면 위로 올라올건가요?”

이별에서의 회복은 어려운 과제이지만 의미를 부여하면서 그 삶을 더 소중하게 만들기를 말한다. 슬픔속에 계속 머물수는 없는것이다. 이 슬픔 벗어나는것이 아니라 이겨내고 의미를 주어 살아가야 한다.

"그렇다면 의미를 찾지 못하는 사람들은 왜 그런 걸까? 의미를 찾거나 의미를 만드는 능력이 타고난 유전저에 새겨져 있는 걸까? 의미를 찾을 수 있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이 정해져 있는 걸까? 타고난 사람들만 고난에서 좋은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는 걸까? 그렇지 않다. 누구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나는 마음속으로 이렇게 말하고 싶었다. “ 걱정하지마. 장례식에 못 온 것이 뭐 그리 큰일이라고.” 이런 말로 마리아의 죄책감을 덜어주고 싶었다. 하지만 그건 솔직하지 못한 말이었다. 난 그냥 이렇게 말했다.

“보고 싶어.”

이글은 읽는데 왜이렇게 눈물이 날려하는지 모르겠다. 우리는 솔직하지 못하고 아니 나는 솔직하지 못하고 남을 의식하고 배려하며 나를 더욱 힘들게 하는지 모르겠다. 슬프고 힘들때는 솔직해지면 어떨까 생각해 본다. “보고싶다” 나는 괜찮지 않아. 힘들어 위로해주라. 그냥 곁에 있어주라. 함께 울어주라

어느날 강연에서 한 청중이 이렇게 말했다. “ 제 고객 중에 다른 사람들이 슬퍼하는 모습을 보기가 괴로워 장례식을 가지 못하는 사람이 있어요.그런 증상을 지칭하는 병명이 있나요?”

나는 대답했다. “이기심이요. 자기중심적 사고요.” 나는 사람들이 큰 슬픔을 겪을까 봐 두려워지기 시작하는 시점이 언제인지 궁금했다. 삶에는 오르막과 내리막이 있다. 높은 곳이건 낮은 곳이건 그 자리에 존재하는 것은 우리의 책임이다.

이 글은 나를 꾸짖는것 같다. 애도의 자리는 중요한 것을 얘기한다. 글을 읽고 있는 나 자신도 항상 경사 보다는 애사는 꼭 참석하려고 노력하지만 그렇지 못할때가 빈번하다. 슬픈자리에 함께 위로해주고 함께 슬퍼해주는것이 함께 사는 공동체의 기본인것 같다라는 생각을 한다.

아이들의 고통도 생각해보자. 사람들은 아이들에게는 죽음을 직접 대면하지 않게 해야 덜 고통스러울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사실은 정반대다. 아이들도 어른과 마찬가지로 사랑하는 사람이 떠나면 고통을 받는다. 고통을 숨기고 덮는 방법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아이들이 장례식에 참여하는 것은 도움이 된다. 아이들이 겪는 고통은 누군가 보아주고, 아이들 스스로 자신의 고통을 다른 사람들의 감정에 투영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 아이들에게도 가르쳐야 한다는 말에 공감해본다. 주변 사랑하는 사람과 이별은 아이들도 힘든 고통일수 있는 것이다. 부모는 아이들의 거울인것 처럼 사랑도 이별도 올바른게 보여줄때 아이들도 올바른 행동하고 그렇게 자랄것이다. 그리고 아이들고 고통을 받는것을 이해하고 이별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라는것을 배운다.

사랑하는 사람이 죽고 나면 그 사람과의 관계는 바뀐다. 하지만 바뀐다고 해서 사라지는 것은 아니며 남은 날들에도 계속 지속된다. 그 관계를 어떻게 의미 있게 만드느냐는 남은 자들의 과제다.

“고통을 없애드릴 수는 없습니다. 그런 제가 할 수 있는 일이 아니에요, 당신의 고통은 온전히 당신의 몫입니다. 그 고통도 사랑의 일부이지요. 제가 할 수 있는 일은 당신의 의미를 찾을 수 있는지, 고통이 달라질지, 괴로움이 끝날지 알게 해주는 것뿐이에요.”

바뀐다고 해서 사라지지 않는다. 그렇다 계속해서 나의 기억속에 남는것이다. 이책을 읽은 면서 머리속에 계속해서 생각나는 분들이 있다. 언제가는 그날이 올것이다. 그렇게 생각하면 너무 슬프다. 그렇지만 어찌 할 수 없다. 그분들과 함께한 기억들이 의미로 남을 것이고 때로는 준비해야 한다

"고통은 죽음에 대한 자연스러운 반응이다. 그 죽음이 자살때문이건 다른 이유 때문이건 마찬가지다. 하지만 괴로움은 우리 마음이 만들어낸다.......생략 .......누군가의 자살을 겪은 이들은 그 자살의 이유를 자신에게서 찾아 자신에게 상처를 내고 자신을 탓하는 방향으로 마음이 급속하게 흘러가기 때문이다."

섬세한 부분까지도 작가는 이야기 해준다. 죽음 가운데 자살은 어떤 의미인가. 죄악인가. 아니면 무엇인가.작가가 이야기 하는것 처럼 그 의미는 지금까지 고통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그에 이르기까지 당사자는 얼마나 많은 고통의 시간속에 살아가고 생각을 했을것인가. 안타까운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어떻게 대처할것인지 생각해보아야 한다. 그렇지마 그 죽음마저도 의미를 주어야 한다.

"슬픔에 관해 모든 것을 아는 나였지만 내게도 도움이 필요했다."

"아침에 일어날지 말지 선택해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듯, 그냥 견디는 거다. 할 수 있는 다른 일은 없었기에 그냥 한 걸음씩 걸었던 거다. 좋든 싫든 내 삶은 지속된다. 그리고 나는 기꺼이 내 삶에 동참하기로 했다.

의미를 찾기란 쉽지 않다. 매 순간 선택을 해야 한다. 치우를 향해 나아길 것인지. 고통속에 머물것인지. 슬픔의 다른 단계들과 마찬가지로 여섯 번째 단계에서도 능동적인 태도가 필요하다."

슬픔과 애도 전문가인 작가 마저도 가까운 사람과의 이별은 슬픈 것이다. 도움이 필요한것이다.

그렇지만 나아가야 한다. 나아가고 애도시간이 어떤이는 긴시간이 필요할수도, 어떤이는 짧은 시간,

어떤이는 취미로, 어떤이는 술로, 어떤이는... 여,러방법을 간구하며 해결해 나갈것이다. 고통속에 계속 머물수는 없는것이다.

그리고 어려운 의미를 찾아 이별의 아픔은 있지만 사랑했던 그 의미를 담고 살아가야 한다는것을 알게 해준다.

이 책을 읽으면서 사람과의 관계속에 이뤄지는 일들을 많이 생각하게 한다.

이글은 “서평단활동”으로 도서를 “지원” 받아서 작성한 글입니다.

[의미수업 /데이비스 케슬러 지음/ 박여진 옮김/ 한국경제신문]

https://blog.naver.com/qqwpp655/2221469364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