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연결하는 소설 - 미디어로 만나는 우리 창비교육 테마 소설 시리즈
김애란 외 지음, 배우리.김보경.윤제영 엮음 / 창비교육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점 가서 사려고 했는데 표지며 색지며 눈이 너무 아파서 못 샀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정소감 - 다정이 남긴 작고 소중한 감정들
김혼비 지음 / (주)안온북스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좋은 사람이 좋은 글을 쓴다’는 문장을 믿게 해준 책. 사람을 만나면서 얻는 에너지와 기쁨은 책을 읽으면서 얻는 그것과는 다르다고 생각했는데 <다정소감>을 읽으면서는 둘 다 느낄 수 있었어요. 제 안에 다정을 넉넉히 챙겨주셔서 고맙습니다, 작가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딱 여섯 시까지만 열심히 하겠습니다
이선재 지음 / 팩토리나인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함께 일하는 분인데 진짜 일도 잘하시고 동료들에게 엄청난 에너지를 주세요! 미래가 더욱 더 기대되는 닮고 싶은 분입니당 ㅎㅎㅎ 밥도 두공기씩 엄청 잘 먹...❤️❤️❤️ 드디어 알라딘에 올라왔네요 구입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라진 공간들, 되살아나는 꿈들
윤대녕 지음 / 현대문학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학교 3년 내내 아빠의 출근길이 나의 등교길과 겹쳐 아빠 차를 타고 등교하곤 했다. 마치 차 기사를 둔 듯 편리하게 등교했지만 크게 혼난 다음날 아침에 차를 같이 타는 일이 굉장한 고역이었다. 아마도 그런 아침들 중 하나였을 건데, 무거운 공기 속에서 윤대녕 작가님의 은어낚시통신이 라디오에서 흘러나온 적이 있었다. 나레이터의 목소리가 무겁고도 신비스럽게 기억되는데, 소설의 내용 탓인지 그 사람의 목소리가 실제로 그러했는지는 모르겠다. 소설가인 아빠 덕분에 집에는 언제나 책이 그득했고, 집에 돌아와 은어낚시통신을 찾아 읽었다. 중학생인 내게 실존주의 소설이 이해될 리 없었지만, 그 느낌만은 강렬해서 윤대녕 작가님의 이름을 늘 기억하면서 살았다. 표지에 박힌 작가님의 사진도 내가 딱 상상했던 얼굴을 하고 있었다.

11년 만에 윤대녕 작가님의 장편소설이 나왔다고 해서, 빨간책방을 챙겨 들었다. 김중혁 작가님과 이동진 평론가 님의 목소리는 한껏 상기되어있었고, 90년대 문학의 대가 앞에서인지 조금은 조심스러웠다. 듣는 나도 그랬다. 윤대녕이라니, 내가 이렇게 좋아하는 빨간책방에 윤대녕이라니. 은어낚시통신이 어떤 내용인지도 기억나지 않지만 딱 상상했던 목소리와 조금은 의외인 그러나 너무나도 어울리는 말투에 마음을 또 빼앗겨 버렸다. 고등학교 때 성당에서 어떤 누나를 몇주? 몇달?간 빤히 쳐다보다 그 누나가 "넌 왜 매일 나만 쳐다보니"라고 했는데 "당신이 나를 쳐다보는 이유와 같습니다"라고 대답했다는 일화에, 아마 빨책을 듣는 모든 여성들은 눈살을 찌푸리면서도 한편으론 두근거려하지 않았을까.

​은어낚시통신을 어렵게 읽은 기억 때문인지 빨책을 듣다가 작가 님의 에세이가 있다는 얘기를 듣고, 신작이 아닌 에세이를 구입했다. 세월호 사건과 장자연 사건 등 사회적 비극에 대해 죄책감을 느낀다는 작가 님의 말씀에 위로받는 한편, 나도 그런 어른이 되고 싶었기 때문이다. 진지하고 무거우면 지탄받고, 모두가 예쁘고 좋은 것만 보려는 시대에 이렇게 시종일관 진지하신 작가님의 에세이가 필요했다.

이 책은 고향집, 목욕탕, 자동차 등 하나의 공간을 주제로 쓴 글을 모아둔 책이다. 작가님의 유년기부터 최근까지 과거를 회상하는 내용이며 그 공간을 떠남과 동시에 공간과 나의 흔적은 사라지지만 조금씩 자신의 안에 있던 꿈들이 되살아난다,는 주제이자 책 제목으로 책은 요약될 수 있을 것 같다. 연재를 하면서 과거를 돌이켜보는 일이 즐거웠다고 말하는 <작가의 말>에서, 작가님은 에세이를 쓰는 동안 또 나아가셨구나, 더 멋있어지셨구나, 하고 느꼈다. 가난하고 힘들었던 유년기를 부정하지 않고 멀리서 바라볼 줄 알게 되기까지, 윤대녕이라는 사람이 형성하고, 사라진, 공간들이 있었다.

책을 읽는 내내 작가님이 이곳 저곳 혼자 잘 다니시는 게 무척 부러웠다. ​​충동적으로 제주도로, 전주로, 유럽으로 떠나고, 절에 몰래 들어가 앉아 담배를 피기도 하고, 광장 계단에 앉아 생각에 잠기고. 서울 아니 전국 구석구석 골목길을 걸어다니시는 작가님의 모습을 떠올리면서 나도 올해는 술을 혼자 먹으러 가봐야지! 라고 생각했다. 내 안의 그리고 남의 편견에 부딪치고 맞닥뜨리는 일이다. 과연 할 수 있을까... 일단 북앤펍부터 가보지뭐. 갑자기 신이 난다. 그곳에서 하나의 공간을 주제로 에세이를 쓰는 거다. 이 책을 읽고 내 안의 꿈도, 좀더 자란 기분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루쉰P 2016-06-24 21: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흠 이름은 많이 들어본 소설가인데 ㅋ 아직 읽어 보지는 못 했어요. ㅎ 이제 시작하시는 것 같아요. 좋은 리뷰 기대하고 있을께여 ㅋ

근데 이미 쓰신 글이 앞으로 얼마나 좋은 글을 쓰실 지 기대가 되네요 ㅎ 아버지가 소설가라니 ㅋ 이거 책은 집에 많으시겠어요 ㅎ 아 부럽다.

반갑습니다. ㅎ 즐거운 금욜이요 ㅋ
 
바디무빙 - 소설가 김중혁의 몸 에세이
김중혁 지음 / 문학동네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중혁 작가님이 들으면 서운해 하실 수도 있겠지만, 작가님의 소설보다 에세이를 더 좋아한다. 바디무빙은 "삶은 어떤 식으로든 몸으로 드러나게 마련이다"라면서, 온갖 훈내를 풍기는 작가님의 사진까지 있는 띠까지 두르고 있었다. 거기다 핑크색. 가만 보니 표지를 직접 디자인하셨겠구나. 여튼 매년 이렇게 책을 내주셔서 너무 너무 고맙다고.

읽는 내내 행복했다. 지하철에서는 사실 책에 집중하기 쉽지 않다. 괜히 남에 의식하게 될 때도 있고, 음악도 아무거나 막 들을 수 없다. 하지만 이 책은 이어폰을 끼지 않고도 앞사람이 빤히 쳐다봐도 그저 낄낄대고 웃기 바쁘게 해주었다. 빨책에서 듣던 작가 님의 웃음소리가 들리는 거 같기도 하고, 어떻게 이런 생각을 할까 감탄하면서, 절대 뻔하지 않은 김중혁이라는 사람에게 설레였다. 특히 시간을 쪼개쓰고 죽기까지 시간을 계산하는 시계의 발상은 정말 놀라웠다. <요요>를 쓰기 전에 시계를 보면서 멍하니 있는 시간을 많이 가지셨겠구나. 그래서 이렇게 시간에 대해 넓게 생각하시게 되셨구나. 벽시계를 가만히 보고 있는 작가 님의 모습도 그려보게 되고. ​헷.

역시나 소설가가 쓰는 에세이인지라 문장이 아름다워서-특히 에필로그- 여러 번 반복해서 읽었다. 제목만 보고 작가 님이 수영을 하면서 몸이 좋아졌다,라는 이야기가 나올 줄 알았다. 그러나 내가 이렇게 가볍고 진부한 사람이었나, 나 자신에 실망했을 정도로, 이 책은 인생 속에 있는 몸이 아닌, 살아가는 몸에 대함이다. Body Moving = Living, 오랜만에 빨책에서 에세이 한 번 안 다루시나요.

내 마음뿐만 아니라 몸이 하는 소리도 잘 들어야겠다. 무브무브~~~ :) ​아 너무 행복했고 또 행복한데 내년 이맘때쯤에도 책 내주실 거져. 후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