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끄러움 많은 아이 당당하게 기르기 - 사회불안장애 아이들을 위한 두려움 극복 훈련 클리닉
바버라 G. 마크웨이, 그레고리 P.마크웨이 지음, 이애리 옮김 / 알마 / 2010년 6월
평점 :
품절


낯가리는 것을 넘어서 무조건 엄마 뒤에 숨어버리는 부끄럼 많은 아이의 마음속에 '불안'이라는 심리가 내재되어 나타나는것이라고 하네요.

가끔은 지나치게 부끄러워하는 아이 왜그런지 궁금할 때가 있어요.

그런데 <부끄러움 많은 아이 당당하게 기르기>를 읽으면서 부끄러움, 수줍움 많은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게 되었어요.

부끄러움을 많이 타는 아이는 다른 사람이 자신을 어떻게 바라보는지에 대한 걱정이 크다고 하네요. 자신의 어떤 말과 행동을 했을 때 그것이 상대방에게 거절당하지 않을까 불아해하는 것이지요. 또 자신을 싫아하거나 해치지 않을까 하는 타인에 대한 두려움이기도 하고, 자신의 모습에 대해 자신감이 없음을 의미하기도 해요.

 

문제는 이러한 성향과 행동이 고쳐지지 않고 지속되면 유치원에 다니는 본격적인 단체 생활을 할 때 대인 고나계를 회피하게 되고 사회성발달의 결여를 가져오게 되지요. 그러다보면 사회적으로 위축되고 고립되지요. 집단생활 부적응으리는 문제로 발전될 가능성이 높답니다. 또 정신 병리 증상인 사회 공포증, 선택적 함구증, 발표 불안, 우울증, 회피성 인격 까지 생길 수 있어요.

부끄럼 하나가 이렇게 아이의 인생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하니 꼭 해결해야 할 중요한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었어요.

 

책을 읽으면서 공통적으로 부모에게 말하는 것은

아이의 말에 귀를 기울이라는 것입니다. 아이의 말에 귀를 기울이면 아이는 자신이 존중과 이해를 받고 있음을 느끼게 되면 건강한 자존감을 가지게 된다는 것입니다. 건강한 자존감을 가지게 되면 부끄럼을 극복하는 일이 좀더 수월해진니까요.

긍정적인 말을 많이 해주고 아이에게 용기를 복돋아주는 것이랍니다.

아이가 부끄러워하면 생기는 부정적인 경험보다는 긍정적인 기억을 더 많이 가지도록 해주는 것이지요.

부끄럼 많은 아이라는 꼬리표를 달지 말고 아이를 나무라거나 다그치지 말라는 것이에요.

그리고 아이에게 스스로 부끄럼을 이겨낼수 있도록 시간을 주고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리라는 것이지요.

 

"괜찮아 네가 무슨 말을 하든지 다 들어줄게" " 괜찮아, 실수 할 수 있어"하면서 아이의 경계심을 풀어주고 아이를 안심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모든 일을 서두르거나 강요하지 않고 일단 엄마부터 다른 사람과 얘기하는 모습을 자주 보여주는 것이 좋은 방법이라 하겠지요.

 

<부끄러움 많은 아이 당당하게 키우기>를 읽으면서 아이의 '불안'한 마음을 읽어주고 기다려주는 것이 얼마나중요한지 배우게 되었습니다. 어른도 낯선 환경이나 낯선 사람을 두려워하는데 아이 또한 그런 것이라고 이해해 주는 것..시간이 지나면 서서히 적응할테니 서두르지 않은 것이 부끄럼 많은 아이를 둔 엄마들이 가져야 할 마음이라고 생각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