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끌림의 과학 - 아름다움은 44 사이즈에만 존재하는가
바이런 스와미 & 애드리언 펀햄 지음, 김재홍 옮김 / 알마 / 2010년 4월
평점 :
절판


부드러운 목소리.. 따뜻한 미소.. 사려깊은 태도.. 속 깊은 마음.. 그리고 안정적인 직장..   그런데 키가 160의 단신에..  이마가 좁고.. 코는 낮으며.. 얼굴빛은 거무스름하고.. 입술은 두툼하게 튀어나와 있는 못생긴 남자라면.. 과연 여자들은 그를 좋아할 것인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탁월한 외모로 이성에게 인기 있는 사람과.. 외모로 인해 갖게 된 컴플렉스에 의해 고통스러워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의 질시와 갈등.. 음모와 같은 것들은 늘 문학, 예술, 신화의 주 소재로 다루어져 왔다.. 그것은 외모라는 것이.. 인간의 삶에서 절대로 배제할 수 없는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이리라..
 

이 책은 이성간에 호감을 끌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한다.. 외모를 가꾸는 방법.. 나 자신을 포장하는 방법 등의 내용이 담겨 있을거라는 나의  기대를 무참히 깨트리고 .. 통계와 그래프까지 등장하는 인문과학서적이었다.. 이 글을 쓴 작가는 자신이 쓴 글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참고문헌을 책 내용의 1/3만큼이나 제시하고 있다..  그래서 그런지 좀 어려운 데다가 산만하기 까지 해서 읽는데.. 아주 어려움을 겪었다.. 그렇지 않아도 내용을 읽으며 아름다움을.. 그것도 육체적 아름다움을 무시하는 당신.. 떠나라!까지는 아니더라도..  이게 얼마나 중요하냐면 말야..  좋은 직장에 들어가기 위해서도.. 좋은 남자 만나 결혼을 하려해도.. 심지어.. 내가 낳은 자식들의 학교에서 자랑스러운 부모가 되기 위해서도.. 아름다워야 하는거야.. 뚱뚱하고 못생겨봐..  아이들은  창피하다며 엄마가 학교에 오지 못하게 할거고.. 결혼은 할 수 있을까.. 능력이 있어도 뽑아줘야 들어가지.. 당신이 아무리 외모는 중요하지 않아.. 진정한 아름다움은 마음에 있는거야.. 착한 사람은 결국 모든 사람의 인정을 받게 되어 있어라고 말해 봐야.. 소용없어.. 봐봐.. 이렇게 철학자.. 시인.. 예술가들 뿐만 아니라 과학자들까지도 모든 육체적인 아름다움에 매료되어 연구에 연구를 거듭하고 있잖아.. 라고 말해 주고 있는 것이다.. 

 

나는 외모가 그닥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아니다..

외모도.. 첫인상도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모임이나.. 외출시 언제나 준비에 공을 들인다.

나도 분명히 그렇게 생각하고 있는 사람이지만.. 이 책을 읽으며.. 씁쓸한 진실을 마주 하니.. 정말 맥풀리는 느낌이 드는 것은 사실이다.. 결혼전 55나.. 44를 입었던 나는 이제 66이 잠기는 것에 쾌재를 부르는 아줌마가 되었다.. 집에서 아이들과 씨름을 하다보면 세수는 물론 양치를 안 한채.. 퇴근한 남편을 맞는 일이 다반사.. 이 책을 읽으며 나는 과연 남편에게 매력적인.. 이끌림의 대상일까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되었다.. 아아.. 좌절감.. 이 책의 작가가 의도하는 바와는 다르게 나는 이 책을 읽으며 나 자신의 매력 찾기에 골몰했고.. 그리고 좌절했다.. 거울을 통해 느끼는 좌절감과 애통함도 모자라 이제는 책을 읽으며 이런 감정에 휩싸이게 되다니..  작가의 글이 훌륭해서 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