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묵의 시간 사계절 1318 문고 61
지크프리트 렌츠 지음, 박종대 옮김 / 사계절 / 2010년 3월
평점 :
절판


사랑이 시작되어 뜨겁게 타오르다가 서서히 식어 서로에게 무덤덤한 상태로.. 가족이 되어 가는 시기가 있다고 한다.. 과학적이고.. 물리적이고.. 인간의 호르몬 작용에 의해서 말이다.. 그런데.. 19살.. 남자 아이가 이제 가슴 속에서 활활 타오르기 시작하는 사랑을 놓쳤다.  그것도 죽음이라는 가장 아름다운 이별의 방식으로 말이다.. 이별이 너무나 아름다울 때..  그 이별의 한 끝에 남아서 살아가야 하는 사람은.. 그 이별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행복을 찾는 것이 정말 어렵다..  이 책은 사랑하는 이의 추도식에 참여하는 것으로 이야기가 시작하기 때문에.. 두 사람의 사랑이 비극으로 끝이 난다는 것을 알고 읽기 시작했다..  그래서 읽는 내내 남자 주인공의 아픔을 예상하고 걱정하며 안절부절하며 책을 읽어 나갔다.  그 사랑의 묘사가 아름다울수록.. 서로를 바라보는 시선이 애틋할 수록 그 걱정은 더해만 갔다.. 책을 읽으며 이렇게 가슴을 애태우던게.. 언제였던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들의 사랑이.. 나에게는 그 동안 잊고 있던.. 몰입을 주었다..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사제간의 사랑.. 더더군다나 육체적인 사랑에 대한 구체적인 묘사가 담긴 이 책은 보수적인 우리 사회에서는 큰 반향을 일으킬 수 있는 것이다.. 나부터도 이 책을 읽기 전에는 자극적인 소재로 상술이 가득 담긴 책이지 않을까.. 하는 삐딱한 눈으로 바라보았고.. 그들의 사랑이 육체적으로 그려지는 것에도 마음이 편하지 않았다..  그런데.. 작가는 이 책을 사제간의 사랑에 초점을 맞춘 것이 아니라 19세 소년이 어른으로 성장해 가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소년이 어른이 되기 위해서는 통과의례가 필요하다.. 성적인 성장과 함께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고통과 절망의 시간을 이겨낸 정신적 성숙..  육체와 정신이 동시에 넘어서야 하는 통과의례..  그리고 그렇게 어른이 된 주인공은 삶을.. 살아간다..

 

한줌의 재가 된 선생님을 바다에 뿌리며 소년은 생각한다.. 선생님이.. 재가 된 선생님이.. 아무런 흔적도 증거도 남기지 않고 사라진다고.. 소리없이 소멸한다고.. 그것이 이별의 문법인가보다고..  그리고 사람들이 던지는 꽃들이 흘러흘러 자신들의 사랑이 오롯이 남은 그 곳으로.. 물새섬으로 흘러가리라는 것을 깨달으며 그 꽃들이 자신의 젊음의 영원한 비극으로 기억되는 동시에, 상실의 아픔을 보듬는 크나큰 위안이 되리라고 생각한다..  그 꽃을 건져 둘만의 비밀이 숨쉬는 그곳에 가져다 두고.. 영원히 머물겠다고.. 한다..  그렇게 이 소설은 끝이 난다.. 그래서 더 걱정이 되었다. .

소년은 그곳에서 나와야 한다.. 그곳에서 돌아와야 한다.. 그래서 삶을 계속 살아나가야 한다.. 그래야 아름다운 추억을 가슴에 안고.. 건강하게.. 살 수 있다.. 그런데.. 소설이.. 그렇게 끝이 나 버렸다.. 아쉽고.. 아쉬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