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 없는 세상
필립 클로델 지음, 정혜승 옮김 / Media2.0(미디어 2.0) / 2010년 4월
평점 :
품절


한때 어른들이 읽는 그림동화가 유행을 했던 때가 있다.  샤를 페로가 쓴 그림동화는 원래 아이들을 읽히기 위한 것이 아니었다. 그래서 원작은 잔인하고 폭력적이며 구제적인 성묘사 때문에 아이들에게 읽히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  그렇다면 씌어진 의도에 맞게 원작을 어른들이 읽어야 하지 않는가라는 연구를 바탕으로 자극적인 내용을 주로 한 책들이 많이 출간되었었다.. 이 책도 그러한 맥락에서 나온 책이 아닐까.. 생각했었다. 그런데 "아이들 없는 세상"은 그런 류의 책들과는 성격이 달랐다..
  이 책에는  우리가  어린 시절 읽었던 동화들을 아이들의 시선으로 패러디한 동화 19편이 담겨 있다. 

아이들의 시선으로..  이 작가는 이 부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아이들의 시선으로..

아이들이 읽는 동화는 이미 어른이 된 작가들이 아이들에게 교육적 가르침을 주기 위해.. 또는 즐거움을 주기 위해.. 쓴 것이다. 그래서 아이들의 마음을 읽고.. 그 마음을 이해하고.. 그 마음에 동조하여 아이들의 입장에서 글을 쓰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그래서 우리가 알고 있던 동화의 주인공들이 까칠한 아이들이 된다.. 천사들이 찾아와 소원을 이룰어 준다고 해도.. 믿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귀찮아 하며 어서 가주기를 바라는 아이.. 어른들의 일방적인 강요가 부당하다며 어른들에게 자신들의 존재의미를 각인 시키기 위해 잠시 부재를 선택하는 아이들.. 

이 책에서 아이들은 주어진 상황에 끌려 다니며 누군가 나타나 구해주거나.. 소원을 들어주기를 바라지 않는다..  그런 의존적이고.. 소극적인 태도는 더 이상 세상을 살아나가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아이들은 알고 있다.. 착하기만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아이들은 알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아이들은 천사의 도움을 거절할 줄 알고..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스스로 움직여야 한다는 것을 안다.. 우리는 결코 아이들을 과소평가해서는 안도니다.. 라고 작가는 말하려는 듯하다..

이 작가의 다른 글을 읽어 본 적이 없어.. 그 의도를 명확히 알기는 어렵지만.. 이 책이 단순히 기존의 책을 비틀어 본 것은 아닐거라는 생각이 들어.. 작가의 의도가 무엇인지에 대해 고민을 해 보았다..

주도적이고.. 독립적인 요즘의 아이들에게.. 우리가 전래나 명작동화로 선악에 대한 관념.. 사회제도에 순응하며 살아야 한다는 암묵적인 규칙을 심어주려는 것이 얼마나 한심한 일인가를 작가는 알고 있는 듯하다..  책은 즐겁고.. 재미있게 읽히지만.. 어른인 내가 이 책을 읽으며 느낀.. 또 하나의 감정은 반항하는 아이들의 태도를 읽으며 느껴지는 불편함.. 기분상함이었다.. 어쩔 수 없이 어른인 내가 아이들에게 바라는 모습이 이미 내 안에 고정관념으로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인가 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