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합성 소년 독깨비 (책콩 어린이) 7
존 레이놀즈 가디너 지음, 천미나 옮김, 에스더 그림 / 책과콩나무 / 2010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물과 햇빛만으로도 통통하게 살이 오르고.. 무럭무럭 자라고 있는 아이..

자신의 아이디어로 세상 모든 사람들의 굶주림을 해결해 줄 수 있다고 믿는 아이..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는 아이..

그리고 꿈을 이뤘으나 이기적이고 계산적인 어른들의 욕심 때문에 꿈을 나눌 수 없는 아이..

자신을 믿지 않았던 .. 믿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부정하려 했던 선생님에게 멋지게 복수하는 아이..

 

참 재미있게 읽었다..   사람이 섭식을 하지 않고 광합성으로 영양분을 섭취한다는 소재부터가 한번도 생각하지 못했던 거라.. 신기했고.. 그 프로젝트를 완성해 가는 과정에서 세세히 설명되어지는 과학정보와.. 아이의 노력..  그리고 비뚤어진 사회의 모습까지..  우리 삶 속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들이.. 이토록 자연스럽게 섞여 하나의 이야기로 만들어졌다는게.. 놀랍기도 했다..

 

아이를 키우는 부모라면.. 아이가 현실에 비추어 정상(?)적인 범위를 벗어났을 때.. 그 부모가 걱정과 두려움에 떨며 아이를 현실에 적응하고.. 현실에 맞게 생각을 바꾸어 주기 위해.. 회유와 협박을 하는지.. 알 것이다..  엄마인 내게 우리 딸이 "엄마, 나 이번 과학 실험 보고서에 낼 주제를 인간의 광합성으로 할거야.. "라고 말한다면 과연 나는 뭐라고 대답할까.. "말도 안 되는 소리 하지 말고.. 니 과학책 가지고 와봐.. 배운 것이나.. 배울 것과 관련있는 걸로 골라보자.. "라고 말할 거다. 

또 내 아이에게 앨런의 할아버지처럼 이야기 해 줄 어른이 있을까.. 하는 생각도 해 보았다..  아무리 둘러 보아도 그런 사람은 없었다..  아이에게 선택권을 주고.. 노력해 보라고.. 해 보라고.. 할 수 있을 거라고.. 이야기 해 줄 수 있는 사람은 없었다..

 

그렇다면.. 우리 아이들은 과연 앨런처럼 자신이 상상하고.. 계획하고.. 꿈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고.. 성공할 수 있는 기회가 있을까..  아니.. 없다.. 우리 아이들은 앨런처럼.. 꿈을 이룰 수가 없다..  왜냐하면.. 믿어주고.. 격려해 주고.. 조언을 해 주는 사람이 단 한 사람도 없기 때문에..  

 

아무래도.. 노력해 봐야 할 것 같다.. 아이들의 말이 갖고 있는  씨앗을.. 내가 억눌러 버리지 않도록.. 귀기울이고.. 주의하고.. 살피면서.. 아이들이 꿈을 갖을 수 있도록.. 노력해 봐야 할 것 같다..

 

고마운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