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에서 경영의 길을 찾다 - 고전의 숲에서 주워올린 경영의 지혜
김우일 지음 / 책이있는풍경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 신문에서 한국, 중국, 일본의 학자들이 함께 모여 앞으로 세계의 중심에 설 동아시아 여러 나라들이 지향해야 할 가치관에 관해 토론하는 학술 대회가 열렸다는 기사를 읽은 적이 있다.. 그런데 역사적으로 유교의 발상지이자.. 자신들의 모든 문화, 유산, 전통이 유교에 바탕을 두고 있는 중국에서 조차 생각하지 못했던 엉뚱한 이론을 한국의 학자들이 주장했다고 한다..  바로 유교를  새로운 세계문화의 중심이 될 가치관의 중심으로 본 것이다..  이에 중국과 일본의 학자들은 의아한 시선을 보냈다고 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그 기사 생각이 났다.  경영의 길을 고사성어에서 찾으려는 작가의 태도는 동아시아 국가 중 앞으로의 세계를 헤쳐나갈 정신적 이데올로기의 새로운 지향점으로 유교를 내세운 우리나라 학자들의 가치관과 일맥상통하는 것 같다..  전해져온 가치관을 부정하지 말고.. 그것을 현대의 가치관으로 재조명하여.. 새로운 가치관.. 세계관을 창출해 내자는.. 아마 그런 의미가 아닌가..
 물론 고사성어가 항상 유교 사상만을 담고 있지는 않다..  우리 선조들이 살아가면서 담고 빚어 낸 말의 보배.. 속담처럼.. 고사성어 역시 중국사람들이 삶 속에서 겪게 되는 경험을 토대로 만들어낸 보석 같은 지혜들이 담겨져 있다..  그리고 우리 후손들은 선조들이 알려주신 삶의 지혜를 잊지 않고..  자신의 삶에 비추어 보며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하는 것이다..  이렇게만 본다면.. 고사성어는 경영의 길 뿐 아니라.. 더 넓게는 인생의 길을 비춰주는 등대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우리에게 물려준 선조들의 삶의 지혜를 우리가 앞으로의 삶에서.. 조심하고.. 경계하고.. 반성을 하는 잣대로 쓸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의 작가는 고사성어가 가진 고유의 뜻을 조금은 자의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는게 아닌가 한다.. 

그래서 글을 읽는 중간중간.. 어어.. 이게 원래 무슨 뜻이 있는 고사성어지.. 하고 다시 내용을 보고.. 확인을 해야 하기도 했다.. 고사성어가 가진 본래의 의미가 아니라.. 고사성어가 만들어진 이야기 속의 어느 한 부분에 착안을 해 경영의 상황과 맞추어 놓기도 했다..  이런 부분만 좀.. 바로잡아 진다면.. 나름.. 재미도 있고.. 배울점도 있었던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