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이웃의 식탁 오늘의 젊은 작가 19
구병모 지음 / 민음사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산부인과의 검사대에 올라가는 여자라면 누구라도, 자신의 몸이 어떤 자극이나 모욕에도 반응하지 않는, 동요나 서글픔 따위를 제거한 무생물에 가까운 오브제라는 사실을 철저히 인식하지 않고 지나갈 수 없었다. 그 과정을 흔히 정상 내지는 보편이라고 간주되는 경로를 거쳐 통과한 이는, 타인과의 어지간한 신체적 접촉 정도로는 눈을 부라리지 않게 되는 것이었다. 일일이 그래 봤자 성격 까다롭다는 조소를 감당하고 비참함을 곱씹는 쪽은 자신이라는, 차라리 스스로를 오브제로 간주했을 때 피로의 역치가 그나마 높아진다는 사실을 몇 번이나 확인한 자로서의 체념, 그 끝에 마침내 일말의 안식처럼 찾아드는 무감각 같은 것이었다. (p.82~83)

 

결혼을 한 친구가 많다. 아이도 둘이나 낳은 친구도 있다. 만나면 시댁 이야기랑 아이 키우는 이야기를 많이 한다. 요즘 같은 세상에 결혼하고 아이를 낳고 사는 친구들이 대단하다. 정부에서는 신혼부부에게 임대주택도 주고 아이가 있으면 우선 대상이 된다고 한다. 그런데도 결혼을 꼭 해야 할까 생각이 든다. 건강검진을 할 나이는 아니어서 산부인과에 대한 이 부분은 무척 소름이 돋고 무서웠다. 구병모 작가의 <네 이웃의 식탁>은 독특하고 근사한 표지와는 다르게 잘 와닿지 않았다. 결혼한 친구들이 읽으면 어떨까 궁금하기도 하다.

 

언젠가 텔레비젼으로 마을 전체 어른이 선생님이 되고 이집 저집 아이를 돌보는 걸 본 기억이 있다. 처음 땅을 사고 집을 지을 때부터 뜻을 같이 하는 사람들이 모여 살기로 했으니 좋은 모습만 보였던 것 같다. 방송이니까 잘은 모르지만. 경기도 외곽에 꿈미래실험공동주택에 모여든 네 부부가 이웃이 된다. 출근길에 자가용을 함께 타고 쓰레기 분리 배출도 같이 한다. 이론과 현실은 언제나 다른 법. 꿈미래실험공동주택이란 말에서 실험이라는 말에 공포를 본다. 비슷하면서도 다른 가족인데 공동육아라는 말에 서로의 이해를 따지면서도 뭐라 할 말이 없는 경우도 생긴다. 아이를 낳으면 다른 아이도 모두 귀하게 여겨진다고 친구는 말했지만 내게는 와닿지 않는다. 출산 가능성이 있는 여자라서 그런지 소설이 소설로만 여겨지지 않는다. 구병모 소설을 종종 읽었는데 역시나 놀랍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