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스님의 무소유의 행복
장혜민 지음 / 산호와진주 / 201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법정스님의 무소유의 행복>

"무소유란 아무것도 갖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라 불필요한 것을 갖지 않는다"
라는 글에 나에게 불필요한것을 필요한 사람에게 나눔으로서 무소유를 실천하고 또 그에게는 베품이라는 덕목을 보여줌으로 또 다른 작용을 만들어낼수 있다는 생각에 이르게 되었다. 한편으로 떠 오르는 생각에 '나비효과'가 있었다.

 



 

어느 것에 어떻게 미칠지 생각할 필요도 여유도 없이 그냥그렇게 행함으로써 또는 행해짐으로 인해 나에게 미치는 영향에
불편해하거나 힘들어 할필요가 없고 이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임으로써 나로 인해 피해본 사람이 없기를 기도함으로써 좋은
'나비효과'가 생기지 않을까하는 기분좋은 생각을 해보았다.




"출가수행의 길에는 눈 밝은 스승과 어진 도반의 영향이 절대적이다. 왜냐하면 사람은 배우고 익힌 대로 풀리기 때문이다"
받아들이기에 따라 다를수 있지만 출가수행뿐 아니라 스님께서 예를들었듯이 어머니란 존재의 중요함 그리고 위대함(?)에 대해
다시한번 생각해보게 되었다. 나 또한 많은 아이들을 키우고(?)있지만 어머니의 영향에 따라 또 가정에서의 영향에 따라
많은 변화가 있지않을까 싶다. 얼마전 메스컴을 통하여 회자되었던 부산의 모군처럼말이다...



 

조금은 거친 말이지만 "국회의사당과 행정부처가 때로는 국립묘지로 이동해왔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왜냐하면 ....."
평소 나도 오늘날의 정치상황을 볼때마다 느끼는 것이기에 더욱 공감이 가는 말씀이었다
그들도 법정스님처럼 힘에 부치고 때로는 도움을 줄수가 없을때 왜 그것을 내려두지 못할까 싶었다. 속세인이라 수양이 덜되어
라고 할수도 있지만 앞서 언급을 해듯이 내려둠으로 인하여 다른사람에게 기회를 주고 베품으로써 자신을 세우고 나라를 세울수
있음을 알수 있었으면 좋겠다.

 

그리고 흔히들 말하는 '기본','초심','처음' 을 현재의 각 종교단체를 예를 들면서 일갈하시는 글을 읽고 '야.. 정말 난사람이었구나' 생각을 하게되었다. 자신이 몸담고 있는 곳뿐만 아니라 타 종교인들에게 영향을 주는 사람이기 쉽지 않는데라는 생각에 미치니 더욱 그렇게 생각하며 조금이나마 나도 그럴수 있을까? 하는 좋은 감정(?)이 잠시나마 들었다 ^^;

 

이책을 통해 왜 이제야 법정스님이란 사람을 알게되었는가 좀 더 많이 알고싶단 생각이 들어서 좋았던거 같다.

 

아쉬운점이라면 책의 출간 시점이 스님의 입적이후 소유권문제등이 붉어진 이후에 출간된것이라 몇몇곳에 보이는 오탈자로 인하여 불편한점이 아쉬웠고 불자의 삶을 모르는 사람을 위해 행간이나 따로 풀이글을 남겨두었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