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끼리도 장례식장에 간다 - 동물들의 10가지 의례로 배우는 관계와 공존
케이틀린 오코넬 지음, 이선주 옮김 / 현대지성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의례의 사전적인 의미는 행사를 치르는 일정한 법식 또는 정하여진 방식에 따라 치르는 행사로 정의된다. 인간 뿐만 아니라 동물의 왕국에도 다양한 의례를 통해 놀이, 구애, 인사, 애도 등의 관계를 맺으며 사회적 연결 고리를 풍성하게 발전시킨다. 코끼리는 자기보다 서열이 높은 수컷의 입에 코를 갖다 대며 인사한다. 특별히 서열이 높은 수컷 코끼리에게는 코끼리들이 줄지어 인사할 때도 있는데 이것은 마치 사람이 종교 지도자나 마피아 두목의 반지에 입맞춤하는 모습과 비슷하다. 수컷공작의 화려한 꼬리는 짝짓기에 성공하기 위한 몸부림인데 이로 인해 포식자에게 잡혀 먹을 확률도 높아진다. 하지만 수컷공작의 입장에서는 볼품없는 모양새로 포식자를 피하는 일보다 화려하게 치장해서 짝짓기에 성공하는 일이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다. 의례의 역사로 보자면 인간의 것 보다 자연에서 일찌기 탄생한 다양한 동물에 의해서 먼저 치뤄진 것이다. 인간의 의례가 사회적 동물의 기본적인 모형을 모방한 것이기에 의례의 역사는 아주 오래전부터 시작된 것이라 볼 수 있다. 우리도 동물 세계의 일부이기에 인간도 의례를 행한다고 생각하면 아주 심플하다. 저자는 인간의 입장에서 동물들이 행하는 10가지 의례를 다양한 사례를 들어가며 설명하고 있는데 동물원의 코끼리를 설명하는 부분에서는 인간의 이기심을 책망하지 않을 수 없다. 예를 들어 동물원 코끼리는 죽은 코끼리를 위해 몸에 흙을 뿌리거나 나뭇가지를 덮는 행위를 하지 않는데 이것은 그들이 한 번도 본적도 없고 의례를 행할 만한 기회를 원천 차단 당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