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저민 프랭클린 자서전 현대지성 클래식 43
벤자민 프랭클린 지음, 강주헌 옮김 / 현대지성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부터 놀라운 점은 프랭클린이 자서전을 쓰게 된 동기이다.

....삶을 다시 살 기회가 내게 주어진 다면 처음부터 같은 삶을 살겠노라고 말해왔다.....하지만 똑같은 삶을 다시 사는 길은 허락되지 않기에.....회고를 될 수 있으면 오랫동안 유지하고자 기록으로 남겨두려 한다.

출처 입력

대단한 자부심이 아닌가? 평범한 인간들은 늘 후회와 미련의 연속인 자신의 지난날들을 아쉬워 하기 마련 아닌가?

이처럼 당당한 최초의 미국인은 미국 개척사의 첫페이지를 멋지게 장식하므로서 미국 100달러 지폐의 모델로 남아 아직도 칭송받고 있다.

아직도 출시되고 있는지 모르겠지만 예전에 심시티라는 건설 경영 시뮬레이션 게임이 있었다. 허허벌판에서 바둑돌을 놓듯이 길을 닦고 건물을 세우고 공장과 학교를 운영하여 도시를 건설한다. 하지만 시민들의 요구에 소방서,경찰서등 을 설치하면서 좀 더 행복한 도시를 만들기 위해 세밀한 전략이 필요한 게임이다. 18세기 초 신대륙에 들어온 이민자들은 마치 심시티의 그것처럼 황량하기 그지없는 아메리카 동부 지역에서 본국인 영국의 가혹한 감독과 원주민인 인디언과의 투쟁, 그리고 다른 식민지 정복국가인 프랑스, 캐나다 등과 전쟁을 견디며 도시를 건설하고 인구를 늘리는 생존게임을 벌이고 있었다. 벤저민 프랭클린은 종교의 자유를 찾아 영국에서 뉴잉글랜드로 이주한 아버지를 둔 이민2세대이다. 재주있는 청년인 벤저민을 가족은 제대로 품어 주지 못했고 결국은 넓은 세상으로 떠난다. 인쇄공으로 시작해서 신문사를 운영하며 돈과 덕망을 쌓아가게 되는데 다양한 인물들과 부딪히지만 벤저민에게는 굳은 심지가 있었다. 평생을 추구하며 자신에게 필요한 덕목을 정리해서 일상에서 실천하고자 노력했다. 이런 노력이 지금의 프랭클린 다이어리나 자기계발서의 모티브를 갖게 된 것으로 보인다. 부와 덕망을 갖추게 되면 자연스레 공적인 일에 자의든 타의든 연관되게 마련이다. 도서관, 소방서,민병대 등 도시 건설의 필수 요소를 합리적인 조화와 타협의 자세로 차근차근 만들어 간다. 사사로운 이익에 눈감고 대의를 먼저 생각한 벤저민은 21세기 세계 최강국 미국의 미래를 생각이나 할 수 있었을까?

마침내 엔딩게임을 승리로 이끈 벤저민 플랭클린은 완생으로 끝난 최초의 미국인일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