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흔, 우울해서 고전을 샀어
조현주 지음 / 사유와공감 / 2025년 4월
평점 :
두아이의 엄마이며 그림책 활동가인 그녀는 육아, 부부관계, 인간관계, 자기 성장, 마음다스림을 고전을 읽고 필사 하는 것으로 한계와 어려움에 부딪혔을때 나 스스로를 다독이는 수단으로 지혜를 배워간다.
고전필사는 내면의 힘을 키우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 말하며 저자의 경험과 다양한 사례들을 고전의 인용문과 함께 들려준다.
필사를 하면서 멈추어 생각하는 시간을 갖고 늘 반복되는 일상을 지루하게만 여길 것이 아니라, 행복한 순간을 찾아내는 것 또한 나의 몫이며 내 삶의 리더로 살아가야 한다 말한다.
가족의 행복, 직장에서의 성취감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내가 행복해져야‘ 모든 것들을 이겨나갈수 있다고 깨닫는다.
🖌️결혼과 임신, 출산을 겪고 양육하는 동안은 다른 것을 돌아볼 여유가 없다.
나라는 존재는 어디론가 사라지고 엄마와 아내만 있을 뿐이다. 혼자만의 시간도 운동을 하거나 책을 보거나 하는 보통의 일상은 없다. 양육에 오롯이 몰입하는 시간이 그 어떤 것과도 바꿀수 없는 귀한 시간임을 알지만 많이 지치는 일이기도 하다.
그러다 점점 나의 손길이 필요해지지 않을때가 되면 경력단절이라는 커다란 장애물로 사회생활도 쉽지 않고 그동안 돌보지 못했던 건강도 나빠져 우울감에 빠지기 쉽다.
그 나이가 마흔무렵 아닐까 싶다. 그 시간이 오면 각자만의 취미생활, 스트레스 해소법, 위로를 얻는 법을 찾아야한다.
나 또한 작은 아이가 초등학교 고학년이 되면서부터 시간적 여유가 생겨 혼자만의 시간을 보내는 방법으로 홈베이킹도 하고 운동도 배우고 문화센터에 다니며 그림과 악기를 배우는 시기를 거쳤다.
지금처럼 독서에 일찍 취미를 붙였다면 좋았을텐데 그때는 전문서적(베이킹, 뜨개질, 수채화등)만 보던때였다.
요즘 여러 책을 읽으며 나 또한 마음다스림을 하려 노력하고 있다. 물론 하루아침에 되는 것도 아니고 본성도 쉽게 바뀌지 않겠지만 가끔 돌아보면 뾰족했던 모서리가 조금은 둥글어진것 같다고 느낄때도 있다. 이것이 책읽기가 주는 이로움일 것이다.
고전을 읽기 시작한지는 얼마되지 않았다. 왠지 어렵고 진입장벽이 높다 생각이 들어서였다. 물론 책에 따라서 난이도는 있지만 의외로 읽을만하다 하는 것들도 많다. 내가 아이들 키우며 하던 말들이나 앞선 시대에 미리 겪은 일들을 들려주는 고전이나 같은 맥락이지 않을까 싶다. 난 현자는 아니니 현자의 말씀은 뭔가 다르겠지..
저자는 말한다 ‘망설이지말고 당장 시작해 보자고’ ’안 할 변명을 찾을 시간에 연필을 잡고 고전을 펼쳐 읽는 게 더 쉽다’고..
✔️파란색 책장에 꽂혀 있는 몇권의 책.. 봄을 연상케하는 표지
판형도 작고 가볍고 표면이 코팅이 되어 있지 않아서 촉감도 좋다..
📚죽음을 언급한다는 것은 오늘의 삶을 기꺼이 살아내겠다는 다짐이다. 죽음을 마주한다는 것은 하루의 시간을 자주적으로 선택하겠다는 의지다. 죽음을 떠올린다는것은 가장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진심으로 사랑을 전해야겠다는 다짐이었다.p65
📚인간은 상대방에 의해 결정지어지는 존재가 아니라 상황에 스스로 판단을 내릴 수 있는 존재다. p168
📚사람의 본래 모습, 심성, 본성을 바꿀 수 없습니다.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인정하고 받아들여야 합니다. p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