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가 쉬워지는 최소한의 수학 - 합리적 선택과 문제 해결력을 위한 수학적 사고법
오국환 지음 / 지상의책(갈매나무)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숫자만 보면 막 어지럽지 않은가?

회사에서도 숫자로 뭔가를 표현하기가 상당히 어려운데 경제를 숫자로 보고 있으면 답답하기 그지없다. 물론 경제성장률이나 실업률을 그대로 보여주는 %의 경우 이해하기가 쉬운데 서로 얽기 설기 섞여 있는 숫자들을 보면(특히 식을 보면) 어렵기도 하면서도 보고 싶지 않기도 하다. 이러한 숫자는 사실 우리가 어릴 적에 수학에 대한 '공포' 때문에 발생된 것이라고 볼 수 있는데, 특히 경제라는 부분은 수학으로 많은 것을 설명하고 증명할 수 있다. 매우 중요한 요소임에도 수학을 보면 겁을 먹는 사람들 때문에 자주 보이지는 않는데, 그러한 것을 온전히 공식으로 볼 수 있다면 어떨까?


이 책에서 나오는 다양한 공식은 사실 '최소한' 이라고 하지만...

쉽게 이해하기는 다소 어려운 것이 있다. 근데 재미있는 것은 책에서 나오는 내용이 대부분 고등학교 1학년 수준의 공통수학 안에서 나오는 내용이고, 약간의 수열 등만 있다는 사실이다. 고등학교 졸업한 지 오래돼서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하면 지금 당장 가서 공통수학 책을 펴 보자(요즘은 어떤 제목으로 책이 있는지는 모르겠다) 간단하게 보자면 정말 쉬운 공식들이다. 한편으로는 당시 배울 때 이러한 사회적 현상을 바탕으로 공부를 했다면 좀 더 공부가 쉽게 되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을 하기도 한다.


수요와 공급.

아마 경제학 책의 제일 초반을 장식하는 내용일 것이다. 가격은 이러한 수요와 공급대로 정해지게 되는데 우리가 순수한 마음에서 수요와 공급을 아무런 제재없이 놔둔다면 당연히 어느 시점이 되면 평행한 상태가 될 것이다. 그런데 세상에 물질이 달랑 1개만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대체제 등도 존재를 하게 되고 공급이 수월할 수도 어려울 수도 있으며 수요가 잠시일지, 꾸준할 지도 차이가 있는 물품들이 많이 있다. 우리가 밥은 수요가 어느 정도 계속 존재하지만 BTS의 브로마이드가 수요가 평생 가진 않지 않겠는가?(아미 미안...) 이렇게 하나씩 복합적으로 늘어나게 되면 복잡해진다. 그런데 함수와 변수 등으로 표현하면 조금 더 이해가 쉽다. 그건 책에서 한 번 만나보면 된다.


세금은 대체 왜 걷는 것일까?

최근 국민연금도 그렇고(사실 이건 거의 뭐 세금이라고 봐야 할듯 하다) 부동산 종부세나 금융투자 세와 같이 민감한 부분의 세금을 '대체 왜 걷는가?'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이 생겼다. 이론적으로는 세금을 통해서 다른 것을 창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겠지만 부의 대물림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것이 크다. 근데 부를 왜 축적하게 놔두지 않는 것일까? 사회라는 곳이 사실 비대칭적이라서 빈익빈 부익부가 쉽게 일어나게 되고 그렇게 되면 사회가 유지될 수 없게 된다. 어쩌면 세금은 필수불가결하지만 내는 사람에게는 기쁨보다는 짜증이 날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한편으로는 필요악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 세금이다. 아이러니하지 않은가?


이제는 경제를 모르면 안된다.

돈 없으면 세상 무시당하는 세상에서 경제가 돌아가는 것을 모르면 정말 바보취급받을 수밖에 없다. 이혼을 하는 이유조차도 금전 이유가 많은데 우리는 초중고대의 교육에서 이러한 부분을 제대로 학습하고 있는 것일까? 돈을 벌기 위해서 일을 하는 것인데 단순히 일을 하기 위한 노력만 학교에서 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반성이 필요하다. 수학 역시도 이렇게 경제와 맞물려서 설명할 수 있으면 금상첨화일 텐데 왜 그렇게 답답하게 책을 만들고 있을까? 차라리 이러한 책과 같이 만들면 좀 더 즐겁게 책을 읽고 있을 수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