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삼국지 인생공부 - 천하를 움직인 심리전략 ㅣ 인생공부 시리즈 
 김태현 지음, 나관중 원작 / PASCAL / 2025년 10월
 평점 :  
     
 
        
            
            
            
            
            
            
            
삼국지를 읽어보았는가?
사실 예전 같으면 읽지 않은 사람을 찾는 것이 드물 정도지만 최근에는 그 정도는 아니다(당장 우리 애들도 삼국지 내용을 제대로 모르니 말이다) 나관중의 삼국지연의를 읽다 보면 특별히 유머가 넘치거나 그런 것은 없지만 많은 것을 상상하게 해주는 것이 있으며 머릿속에 전쟁에 관련된 지도가 펼쳐지는 그런 느낌을 받게 된다. 읽는 내내 어느 하나 지루한 부분이 없이 그 사람들이 왜 이런 결정을 내렸으며 '만약 이렇게 했더라면 어떻게 되었을까?'라는 생각을 무지 많이 하게 된다. 특히 삼국지연의의 특징인 '촉나라' 위주의 내용 때문에 왠지 모르게 촉을 더 응원하게 되고 그로 인해서 유비/관우/장비라는 캐릭터에 좀 더 몰입을 하게 된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캐릭터는 조조다.
약간 악마화(?)가 된 캐릭터라고 생각이 되지만 전쟁에서 이기고 지는 일이 있을지언정 어느 것도 부족함이 없는 다재다능한 인간이라고 생각을 한다. 본인 스스로를 정확하게 자각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고(치세의 능신, 난세의 간웅) 충분히 황제가 될 수 있는 여건임에도 자신의 기한 동안에는 황제를 끝까지 폐위하지 않고 왕으로만 있는 어쩌면 가장 '합리적인 방식' 으로 권력을 획득한다. 정말 능력도 좋은데 기다릴 줄도 아는 사람을 보면, 그리고 거기다가 많은 인재들이 그의 잔혹한 면을 보면서도 인재를 아끼는 모습을 보면서 감탄을 그지 못해 그를 따르는 것을 보면서 '리더의 자질'이 확실한 사람이라고 생각이 된다. 자식 대에 가서는 사마의에게 무너지기도 하지만 결국 위나라라는 강대한 나라를 탄탄하게 꾸려온 것은 그의 확실한 공적이 아닌가 싶다.
삼국지의 가장 클라이막스는 바로 '적벽대전'이다.
아마 이 전투가 없었다면 애초에 삼국지라는 말이 무색해질 텐데 군사를 얻기 전까지 제대로 된 땅하나 얻지 못했던 유비가 이 전투를 통해서 자신의 국가를 건립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게 되었고 손권 역시 그간 강동에 처박혀서 동네 짱 노릇이나 하고 있었던 사람에서 한 나라의 군주로 성장하는 계기를 갖게 되었다. 실제로 손권은 그 이후에 전쟁에서 지는 경우는 있었지만 자신의 땅을 잃는 경우는 거의 없게 되는데 그로 인해서 '수성의 달인'이라는 별칭도 얻게 된다. 손권 스스로는 대단히 뛰어난 사람은 아니었던 것 같으나 인재를 등용하고 다른 신하의 의견을 받아들임에 있어 상당히 우호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조조나 유비와는 다르게 이미 손견/손책/손권으로 이어지는 탄탄한 나라의 모습을 볼 때 한국의 많은 대기업은 조조나 유비가 아니라 손권을 롤모델로 해서 배워야 할 것이 꽤나 많이 있을 것 같기도 하다.
제갈량은 결국 꿈을 이루지 못했다.
천하삼분지계, 방통과 같이 진행했던 연환계, 동남풍 등등 아마 실제 삼국지의 주인공은 제갈량이 아닌가 생각이 든다. 특히 후반부에 나오는 북벌에서 나오는 내용 중 마속에게 했던 읍참마속, 남만을 정벌하면서 나오는 칠종칠금 등, 아마 한자성어가 만들어진 것으로만 보면 어마어마하게 많은 것들이 나온다. 제갈량이 결국 위나라를 무너트렸다면 역사가 많이 바뀌었을까? 사실 현실적으로 보면 절대 불가능했을 것 같다. 나중에 더 읽어보면 알겠지만 위나라에는 인재가 정말 넘쳐날 정도록 많아서 내전이 일어나도 별로 국력이 망가지는 케이스가 없었는데 촉의 경우 문제 몇 번 발생을 하니 나라가 휘청거리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실상 계란으로 바위 치기에 가까운 것이 아니었을까. 아마 제갈량의 경우 본인이 너무 뛰어난 나머지 다른 사람이 자신만큼 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자신의 대에서 어떻게 해서든 해결하고 싶었던 것이 아닐까.
책을 읽는 내내 삼국지연의를 다시 읽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오랜만에 예전에 있던 책들을 꺼내서 읽어보고 있다. 그렇다, 이 책은 삼국지에서 인생을 논할 수 있는 내용들을 속속 뽑아서 하고 있기도 하지만 삼국지의 모습을 다시 한번 생각나게 할 수 있는 그래서 다시 그 책을 찾게 해주는 묘한 매력이 있다. 전쟁에서 우리가 말하는 각종 경영전략들이 만들어진 것은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일 것이다. 나처럼 삼국지를 다시 읽어볼 수 있는 기회가 될 수도 있고 여러 인물들의 모습을 보면서 인생과 사람에 대해서 공부를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도 있다. 그만큼 생각보다 볼만한 내용이 많으니 한 번 읽어보는 것이 어떨까?
-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주관적인 시각으로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