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장 난 세계의 나날 - 기계적·인간적 결함을 마주하는 반도체 엔지니어의 갈등 해소 분투기 일하는 사람 16
세미오 지음 / 문학수첩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적으로 반도체에 대한 관심이 엄청나게 크다.

특히 동아시아 3국과 미국 등 주요 반도체 생산 국가들의 경쟁이 굉장히 치열한데, 이 산업의 특징은 사람도 많이 필요하지만 특히 연구가 엄청나게 중요한 요소라서 연구/개발비용을 대량으로 투자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래서 이 반도체 산업에서 가장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곳은 연구/개발을 담당하는 사람들이다. 실제 회사에서도 이러한 분들이 진급을 빠르게 하게 되고 더 높은 평가를 받곤 한다. 삼성과 같이 기술을 중요시하는 회사들은 이렇게 연구/개발직의 사람들에게 기를 세워주는 경우가 많이 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생산을 담당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는 그리 많이 나오지 않는다. 최근에는 홍보를 많이 하기도 해서 외부에 내부 사정이 조금씩 나타나긴 하지만, 국가기반산업이라는 측면에서 정확히 어떤 생활을 하고 있는지,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 일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많이 부족한 편이다.


이 책의 저자는 정말 '찐 반도체인' 이다.

책에서 반도체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설명하고 있지도, 그리고 생산이 되는 모습이 그려져 있지도 않다. 하지만 그런 것을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도 충분히 머릿속에 상황이 그려진다. 넓디넓은 반도체 공장 내부에서 생활을 하면서 설비와의 아무 말이 없는 싸움을 하며 한편으로는 적인지 아군인지 알 수 없는 다른 부서와의 이야기도 상당히 신선하게 느껴진다. 정말 신기한 것은 내부 전체가 Full Auto라는 점인데, 최근 여러 제조업의 회사들이 인력을 줄이고 자동화를 추진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들으면서 이러한 반도체를 모티브로 하면 되겠다는 생각이 든다. 


국내 2대 반도체 기업인 삼성과 SK하이닉스가 이제는 용인까지 진출한다고 한다.

아마도 더 많은 사람이 이곳에서 일을 하게 될 것이고 이 책에 나와있는 다양한 상황을 직접 몸으로 느끼게 될 수 있는 사람들이 늘어날 것이다. 한편으로는 반도체 설비 엔지니어를 지원하고자 하는 사람에게는 반드시 읽어봐야 할 필독서 중 하나가 아닐까 생각을 해 본다. 아무것도 모르고 가서 힘들어하는 것보다는 간접 경험을 하고 가는 것이 적응하는데 더 유리하지 않을까? 저자의 이야기가 마무리될 때 왠지 모르게 찡한 느낌이 드는 것은 같은 제조업에서 일을 하고 있어서 그런 것은 아닐까 생각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