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프터 워크 - 가정과 자유 시간을 위한 투쟁의 역사
헬렌 헤스터.닉 서르닉 지음, 박다솜 옮김 / 소소의책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집안일도 일이라고 표현을 해야 하는가?

아내에게 집안일도 일이라고 표현을 해야 하냐고 물어봤더니 이런 답이 돌아왔다.

 "일이라는 것은 돈을 벌어야 일이지, 그건 일 아니야."

일은 돈을 벌어야 하는 것일까? 집안일이라는 것이 한편으로는 누군가는 꼭 해야 하는 일인데 그만한 값어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얼마 전까지는 여성의 전유물이라고 생각을 했었는데 이제는 반반 갈라서하는 경우도 꽤나 많아졌고 남자가 아예 가정주부를 하는 케이스도 늘어나고 있는 것 같다. 그럼에도 사실 집에서 하는 일을 돈을 번다라고 생각하는 경우는 거의 없는 것 같다.


엄청나게 많은 제품들이 나왔다.

청소기, 건조기, 세탁기, 식기세척기 등등등... 사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연 당신의 집안일은 줄었을까? 우리가 과거에 비해서 집안일을 하는 시간은 사실 그리 많이 줄어들지 않았다. 이렇게 많은 제품들이 나와서 편안 하게 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절대적인 시간이 줄지는 않았다는 의미이다. 왜 그럴까? 사실 이 제품들의 특징은 이것을 안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효율적으로 하게 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래서 그럴까? 더 깨끗하게 만들어 줄 수는 있더라도 절대적인 시간을 줄이는 케이스는 없다. 오히려 평소에 하지 않았던 것들까지도 더 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그간 눈에 보이지 않았지만 효과를 볼 수 있는 좋은 케이스가 있었으니 말이다.


집 또한 많은 것을 바꿔 놓았다.

최근 50년간 땅이 폭발적으로 늘어난 나라가 없었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인구는 증가했지만 자신의 영역이 줄어들거나 하지는 않았다. 오히려 자동차와 기차, 비행기 등이 등장하면서 동선은 더욱 넓어지기 시작했고 집 또한 더 넓고 좋아지게 되었다. 한국과 같이 애초에 땅이 좁았던 곳은 사실 아파트와 같은 형태가 유리할 수밖에 없지만 미국과 같은 곳은 중산층으로 갈수록 더 넓은 집으로 이사를 가게 된다. 더 넓고 더 좋은, 그리고 더 많은 것을 품은 집이 되어 간다는 것이다. 그러니 집안일은 그에 발맞추어 늘어난다. 이상하다... 분명 편해지고 편안하다는 느낌을 받기 위해 집을 늘렸는데 오히려 일이 늘어나는 상황이 되어버린 것이다. 


자동화를 통해 모든 일을 하는 사람들이 줄어들까?

우리는 회사든 어디든 자동화에 대한 욕구와 갈망을 많이 접하게 된다. 특히 고소득 층의 업에서 자동화가 빠르게 일어나고 있는데 회사 입장에서는 가장 효율적으로 자동화를 할 수 있는 구간이 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결국 어떤 업이 남게 될까? 아마 대면으로 할 수 있는 업이 가장 마지막까지 살아남을 것이다. 평균연령이 증가하면서 노인 요양보호사와 같은 업무는 고되고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하지만 절대 없어지지 않을 업이 되어 버렸다. 당장 의사보다도 간호사가 더 오래 살아남을 직종이라고 하는 것을 보면서 우리는 기계가 아니라 살갗을 만지는 직종에서 일을 해야 하는 당위성도 분명 가지고 있다고 생각을 한다.


미래의 일은 어떻게 바뀔 것인가?

과거 미래학에 대한 책들을 읽어보면 실제 변화한 모습과 많이 다르게 변화된 것을 볼 수 있다. 한편으로는 인간의 상상력이 의외로 그렇게 '뛰어나지는 않구나' 라는 사실을 인지하기도 했다. 그렇지만 미래를 예측해 보는 것, 그리고 지금의 변화가 어떤 결과를 가져오게 될지 생각해 보는 것은 중요하다. 지금 내가 있는 이 자리가 결코 평생 갈 수 없다는 사실을 인지했다면 우리는 과연 어떤 일을 하게 될지, 그리고 집안일에 대해서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분배를 해야 할 지도 고민이 필요하다. 미래의 업에 대해서 궁금하다면 이 책을 꼭 집어야 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