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슬람 사원 : 오스만 제국의 신성한 건축물 ㅣ 데이비드 매콜리 건축 이야기 5
                    데이비드 매콜리 지음, 윤영 옮김 / 다산어린이 / 2025년 10월
                    
                  평점 :
                    
                    
                    
                    
                    
                    
                    
                    
                    
                    
                    
                 
                
            
            
            
        
 
        
            
            
            
            
            
            
            

양극단으로 치닫고 있는 오늘날
데이비드 매콜리는 2001년 9.11 테러 2년 이후 출간된 이 책에 대해
 “사람들 간의 차이점보다는 공통점을 상기시켜 주기 위해” 
책을 쓰기로 마음먹었다고 말했습니다. 그 덕분에 《이슬람 사원》은
종교를 뛰어넘어 모두에게 거부할 수 없는 감탄과 감동을 불러일으킵니다.
9.11 테러 이후 24년이나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중동 지역에서는 종교와 민족간의 혐오로
인한 전쟁이 끝날 기미가 안보이니, 역사는 반복되고 점점 끝없는 평행선을 달리고 있는것 같습니다.
이런 현 시대에 혐오를 이해와 관심으로 풀어나간 그의 대인배스러운 참지식인 정신이
더욱 대단하게 다가옵니다.



단순한 종교 시설이 아니었던 ‘퀄리예’
이슬람 사원은 사원 건물 하나만 짓는것이 아니라 
그 주변에 교육을 위한 학교, 사람들이 모여 사회생활을 할 수 있는 공간, 
목욕탕, 도서관, 상인들이 쉴 수 있는 숙소와 깨끗한 물을 얻을 수 있는 우물가, 상점 등 
그야말로 종교기관을 중심으로 사람들의 생활이 이루어지는 도시 단지가 설립됩니다 . 
그런 시각으로 바라보니 종교색이 옅어지면서 
그저 우리가 살고 있는 도시와 똑같구나 라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AI 시대에 가장 필요한 역량 커뮤니케이션
건축가는 평면도만 그리는 사람이 아닙니다. 거대한 프로젝트를 완성하려면 
숙력된 석공 몽수 벽돌공 대장장이등 여러분야의 수천명의 사람들을
섭외하고 이들을 하나로 뭉쳐 일하게 해야합니다.
AI 시대 가장 필요한 덕목인
커뮤니케이셥 협업 능력이 그 어느분야보다
필요한곳이 건축이 아닐까 싶습니다.
데이비드의 건축이야기 시리즈를 읽다면
와 이렇게 많은 사람이 필요하다니
혼자 할수 있는 일이 아니구나 협응해야하는구나를
아이들이 자연스럽게 깨닫게 되지 않을까요?



이슬람의 수학, 과학, 천문학적 유산
우리가 쓰는 아라비아 숫자, 대수학, 천문학, 기하학등 이슬람으로부터 기원을 둔, 
기술과 지식의 선두에 섰던 그들의 문화적 유산을 엿볼 수 있습니다.
메카를 향해 사원을 정렬시켜서 짓기 위해 그들은 일찌감치 지리학, 천문학이 발전했고 
화려하게사원 안을 꾸민 이슬람 특유의 패턴의 기저에는 기하학의 발달이 저변에 깔려있습니다.
매콜리의 그림 곳곳에서 이런 이슬람 문화의 힘을 마주칠 수 있었습니다.



전공하지 않더라도 건축을 통해 문제 해결 방법을 배우길
데이비드를 건축을 업으로 삼지 않더라도 건축을 공부해보라고 조언합니다. 
건축은 아무리 어려운 문제라도 스스로 해결할 수 있다는 자심감을 심어주고, 
건축의 가장 큰 장점은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가르쳐 준다는 점입니다.
제임스 클리어도 큰 변화를 이루는 가장 현실적 방법은 
문제를 미세한 단위의 행동으로 쪼개는 것이라고 
<아토믹 해빗(Atomic Habit)>에서 이야기했습니다.
말도 안되게 커다란 건축물도 벽돌 한장 한 장 쌓아 나가다보면 언젠가 벽이 완성되고
천정이 올라가고 첨탑이 세워지고 마지막 장식품이 걸리며 완성되어있는 법이죠.
중고등학생 세특 도서로도 손색없는 전연령 추천도서
총 9권이 이번에 번역되어 발간되었고, 저자가 직접 참여하여 
건물들이 지어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책의 번호를 다시 매겼습니다. 
건축이야기 시리즈를 처음부터 끝까지 보기만해도 
고대 이집트부터 현대의 미국까지 세계사 전반을 시대순으로,
전 세계 주요 지역을 훑어나가기 때문에
건축 뿐 아니라 역사, 지리까지 한 축으로 꿸 수 있어
관련 전공에 관심있는 중고등생들은 한번씩 읽어보면 너무 좋을듯합니다!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만 제공받아 자유롭게 쓰여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