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자크와 바느질하는 중국소녀
다이 시지에 지음, 이원희 옮김 / 현대문학 / 200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1968년 마오쩌둥은 문화대혁명을 벌인다. 모든 대학이 휴교하고 '젊은 지식인들'은 '가난한 농민들에게 재교육'을 받기 위해서 농촌으로 추방되었다. 이 역사적 사건의 희생양이었던 다이 시지에가 자신의 체험을 바탕으로, 이 소설을 썼다. 지식인 계급 취급을 받아 농촌으로 재교육 받으러 온 두 청년과 산골 소녀가 나눈 사랑 이야기라고 뭉뚱그려 말하기에는 거기 나오는 프랑스 소설들의 역할이 지대하게 크다. 오죽하면 제목에도 '발자크'가 등장하겠는가....

2. 중국 사람들을 대하면 대할수록 놀랍기 그지 없는 민족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위화의 소설에 나오는 등장인물들부터 마오쩌둥 같은 실제 인물에 이르기까지 참...평범하지 않다. 사람들이 참 극단적인 데가 있다. 어떻게 이렇게 무식해 보이는 행동을 그렇게 용감하게 감행할 수 있을까. 마오쩌둥의 이 전대미문의 기행을 읽으며, 책이 없는 세상을 상상해 보았는데, 정말이지 끔찍할 것 같다. 누구는 천국이란 대형 도서관일 거라고까지 하지 않았는가. 책이 없으면, 인생의 권태와 불안과 고독을 어떻게 견디며 살아가란 말인가. 책은 단지 지식인들의 전유물인가? 마오쩌둥은 왜 그렇게 지식인을 미워했던 걸까. 이 소설의 말미에는 바느질 소녀가 발자크 소설의 영향 때문에 도시로 가려고 가출하는 대목이 나온다. 소설을 통해 소녀를 개화시킬 수 있다고 믿었던 청년은 정작 소녀가 개화(?)되어 자신을 떠나버리니, 책을 불태운다. (분서는 중국의 뿌리 깊은 전통인가?^^) 마오쩌둥이 이 광경을 봤더라면, "봐라, 이런 지식이란, 인민들을 더 위험하게 만들 뿐이야'라며 잘난체를 했겠지?

3. 소녀가 발자크의 소설을 통해 깨달은 것은 이것이었다. "여자의 아름다움은 비할 데 없을 만큼 값진 보물이다" 하하하...그 보물이 산골에서 썩고 있기에는 너무 아깝다는 생각이 들었나 보다. 마담 보바리가 수도원에서 읽었던 수많은 책들은 아마도 하이틴로맨스 류의 소설이었을 것이다. 그 책들은 그녀에게 욕망을 일깨우고, 욕망을 틀지운다. 실재하지 않는 것들에 대한 욕망으로 그녀는 결국 파멸하게 된다.  그런 독서라면,  마오쩌둥처럼 원천봉쇄를 시켜야만 하는 것일까. 하이틴 로맨스 류의 독서가 주는 해악은 현실을 바로 보지 못하게 한다는 것일 것이다. 그 비현실적인 낭만은 소녀들에게 치명적인 독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 바느질 소녀에게 발자크 소설은 어떠했을까. 발자크의 소설도 욕망에 대해 다룬다. 바느질 소녀가 발견한 것처럼, 남자들은 여자의 미모 앞에서 순식간에 평생의 사랑을 다짐하고, 그 미모는 갖가지 욕망과, 결투와, 분쟁과, 정념을 낳는다. 바느질 소녀는 그런 풍속도를 보고, 자신이 엄청난 힘을 가졌다는 것을 알았을 것이다. 물론 남자는 여자의 아름다움 앞에서 약하다. 단지 독서가 인간이 어떤 약점을 가졌는가를 알게 해주는데 그친다면....?  중국인 소녀는 도시에 가서 어떤 삶을 살까. 자신이 가진 힘을 어떻게 발휘하며 살게 될까.. 가진 것 하나 없는 미모의 소녀가, 자신의 미모를 이용하여 도시에서 살아나가는 것은 어떤 삶일지....예쁜 그림이 잘 그려지지는 않는다. 발자크의 소설을 읽고 나서, 소녀가 하이틴로맨스류의 책을 읽은 것처럼 멍청해지지 않은 것은 사실이지만, 발자크가 충실하게 보여준 인간과 사회의 속살들이 그녀에게 무슨 말을 했더란 말인가. 어제 한 지인이 독서만으로는 위험하다. 토론과 글쓰기를 통해 아집을 경계해야 한다고 했었는데, 백번 지당한 말이다. 
  



4. P가 그 나이 남자들의 아주 미묘한 심리를 아주 잘 잡아낸 소설이라고 극찬했던, 황순원의 소설 '소나기'에 대해 어떤 여학생은 맹렬한 공격을 퍼부었다. 거기 나오는 소녀의 외모 때문이었다. 소설 속의 희고 가냘프고 병약한 소녀는 튼실하고 우람한 체격을 가진 자신과는 너무 대조적이었기 때문에 더 화가 났을 것이다. ^^  "이런 소설을 교과서에 실어 놓으니, 여자애들이 내숭을 더 떨고, 외모 지상주의가 더 판치는 거라구요."라며 씩씩거렸다. 황순원의 소나기를 읽고 어떤 여학생들이 '피부를 더 희게 가꾸어야겠군'이라는 생각을 했다면, 우스운 일이겠지만, 실제로 학생들은 그런다는 것이다.^^ 중국인 소녀의 독서도 그러했을까...  단지 그러하기만 했을까.....? 독서를 통해 우리는 뭘 발견해야 하는 걸까. 인간의 약점을 알았다고 하자. 그 다음은? 그것을 이용해 비익을 얻는 것? 그것은 아닐텐데 말이다.


5. 책을 통해, 세상을 알고 타자를 알았으면, 나 자신도 알아야 할 것이다. 어제도 바느질을 하며 살았고, 오늘도 바느질을 하며 살고, 내일도 바느질을 하며 살아가겠지만, 어제의 바느질과 오늘의 바느질이, 오늘의 바느질과 내일의 바느질이 다른 의미를 갖도록 하며 살 수 있는 힘.... 그것이 독서를 통해 가져야 할 힘은 아닐까... 책에 나오는 이 대목은 독서가 무엇인지 잘 보여준다.


'안경잡이'의 가방에는 네 권으로 된 '장크리스토프'전집의 제1권만 들어 있었다. 그 작품은 한 음악가의 생애에 관한 것이었는데....나는 장난 삼아 연애한다는 기분으로 그 책을 대강 훑어볼 생각이었다. 그러나 책을 펼친 그 순간부터 책에서 손을 뗄 수가 없었다. 내가 좋아하는 책들은 대개 재치가 넘치고, 때로는 재미있는 사상으로 구성되거나 깜짝 놀랄 정도로 기발해서 평생 잊히지 않는 이야기들로 이루어진 단편집들이었다. 나는 몇몇 작품을 제외하고 장편을 그다지 신뢰하지 않았다. 그러나 어떤 비속함도 없이 철저한 개인주의를 그린 '장크리스토프'는 내게 새롭고 유익한 사실들을 듬뿍 가르쳐 주었다. 그 책이 아니었다면 나는 개인주의라는 것이 그토록 탁월하고 폭넓은 것인지 결코 이해하지 못했을 것이다. 이 책과 만나기 전까지만 해도...나의 빈약한 머리로는 한 개인이 전세계와 맞서 싸울 수 있다는 걸 몰랐다. 장난 삼아 시작한 연애가 위대한 사랑으로 바뀌었다. 작가가 사용한 돠장된 허풍조차 작품의 아름다움에 해를 끼치는 것으로 보이지 않았다. 글자 그대로 수백 페이지의 거친 강물이 나를 집어삼켰다. 내게 있어서 그건 생각할 수 있는 최고의 책이었다. 그 책을 다 읽고 나니 침범할 수 없는 개인적인 삶도, 세상도 더 이상 이전의 세상과 같지 않았다. (15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