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려고 읽습니다
이정훈 지음 / 책과강연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맹목 없는 다독을 하고 있진 않는가 의심하던 차에(심지어 다독도 아니다. 그저 욕심만 앞섰을 뿐) 책 첫 장부터 글자로 얻어맞았다. 책의 프롤로그에서는 이렇게 말한다. "불안이 깊어질수록 사람은 삶의 진실보다 당장 눈앞의 방편이 되어줄 책을 찾습니다. 현실이 불안할수록 '어쩌면?'하고 반전을 기대하게 되는 심리는 그래서 자연스럽습니다."



다독에 대해 압박감을 느끼고 있던 차에 묘한 안도감을 준 책. 그렇다면 책은 어떻게 읽어야 하는가? 저자는 쓰기를 위해 읽으라고 말한다. 추상적인 제목인 줄 알았는데 이토록 명확한 메시지가 제목일 줄이야. 목적 없는 읽기를 하기보다는 나의 일기를 쓰든, 전문적인 지식에 대한 책을 쓰든, 자신만의 에세이를 쓰든 그 목적에 맞는 읽기를 하라는 것이다. 내용의 정확성을 검증하거나 표현의 다양성이 필요한 경우, 필요한 책을 찾아 필요한 부분만 참고하고 덮는 것이다. (그래서 전자책을 추천한다.) 이때의 읽기는 독서가 아니다. 참고일 뿐이다.



내가 무엇이 필요한지도 모른 채, 이런저런 책을 읽으며 나는 무엇을 기대하고 있었나? 출발지점과 목표지점을 정한 채 그에 맞는 책을 찾는다면 좀 더 집중해서 읽을 수 있고, 책에서 내가 얻고자 하는 것을 확실히 얻어갈 수 있다. 이 단순한 원리를 생각해보지 않았다니. 하지만 내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



"쓰기의 출발은 당신이 가장 오래 해 온 것에서부터 출발해야 합니다. 당신이 가장 오래 해 온 것, 그것은 바로 '당신 자신'입니다." 그렇다. 나 자신이다. 나는 아무것도 하지 않을 때 막연한 불안감으로 책을 찾았다. 이 불안의 이유를 찾아야 했다. 그것은 내가 어떤 사람인지, 내가 어떤 주관을 가지고 살아가야 하는지, 아직 나에 대해 잘 모른 채 그림자에 옷만 입히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나 자신에 대한 탐구로 글을 쓴다면 뚜렷한 주관이 생기고, 단단하게 중심을 잡을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