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청구회 추억
신영복 지음, 조병은 영역, 김세현 그림 / 돌베개 / 2008년 7월
평점 :
청구 청구 우리가 자라는 푸른 언덕~
내가 다녔던 문화동 길가에 있던 청구국민학교. 학교 안에 있던 야외수영장 하나로 많은 아이들의 부러움을 사곤 했던 우리 학교. 갑자기 청구의 교가 끄트머리가 떠오르며 아주 먼 추억의 그곳으로 나를 끌고 간 책 한 권.
신영복의 청구회 추억
이 책 제목의 청구회가 바로 청구초등학교의 그 청구라는 걸 나는 이 책을 읽고서야 알았다.
1966년 이른 봄철 서울대학교 문학회의 초대를 받고 회원 20여 명과 함께 서오릉으로 답청놀이에 참가한 젊은 교수 신영복은 저희들끼리 먼 길을 걸어 서오릉으로 소풍을 가는 여섯 명의 남자 아이들을 만나게 된다. 중학교에 들어갈 수 없을 만큼 어려운 생활형편이지만 똘똘 뭉친 여섯 아이의 우정은 신영복을 만나 더욱 단단해진다. 바로 이 아이들이 다니던 학교가 청구국민학교였다! (하, 놀라워라~)
여섯의 아이와 한 명의 어른.
장충체육관 앞에서의 정기모임과 애써 벌은 돈 함께 모으기, 책 읽고 토론하는 모임 등은 68년 신영복 교수가 구속될 때까지 이어진다. 아이들과의 약속을 지키지 못하게 된 신영복은 교도소안에서 미안한 마음으로 아이들과의 만남을 글로 적는다. 그때 휴지에 눌러 쓴 그 글을 시간이 아주 많이 지난 후 찾게 되는데, 그게 바로 청구회 추억이다.
추억이란 무엇인가? 내게는 지금, 바로 현재를 살게 해주는 원동력이다. 에니어그램의 지혜라는 책을 보니 내 성격유형은 4번 개인주의자였다. 개인주의자라니... 그런데 그 개인주의자들의 특성이 바로 과거에 매여 있는 거란다. 내가 개인주의자라는 걸 인정할 수 밖에 없었던 건 바로 그 과거를 벗어나지 못하는 내 성격을 알고 있기 때문이었다.
신영복은 추억에 대해 이렇게 적고 있다.
우리의 삶은 수많은 추억으로 이루어져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우리는 우리의 모든 추억을 다시 만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과거를 만나는 곳은 언제나 현재의 길목이기 때문이며, 과거의 현재에 대한 위력은 현재가 재구성하는 과거의 의미에 의하여 제한되기 때문이다......그러나 우리는 추억에 연연해하지 말아야 한다. 추억은 화석 같은 과거의 이야기가 아니라 부단히 성장하는 살아있는 생명체이며, 언제나 새로운 만남으로 다가오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지금 내가 살고 있는 이순간도 곧 추억이 될 거라는 말이다. 그러니까 뭐냐, 우리는 추억을 만들며 살고 있는 거다.
책을 읽다 어이 없고 픽픽 웃음이 났던 대목이 있었다. 신영복이 중앙정보부에서 심문받을 때 바로 이 청구회 때문에 겪은 고초이야기이다. 그들은 신영복에게 청구회의 정체에 대해서 물었다한다. 신영복은 바로, 여섯 명의 초등학생들 모임이라고 했단다. 이게 우리나라 정보부에서 벌이는 일이다. 청구회 아이들에게 모임노래도 하나 지어주었는데, 그 노래 가사가 이렇다.
겨울에도 푸르른 소나무처럼
우리는 주먹 쥐고 힘차게 자란다.
어깨동무 동무야 젊은 용사들아
동트는 새아침 태양보다 빛나게
나가자 힘차게 청구 용사들.
이 노래가 또 말썽이었다. <주먹쥐고>라는 표현은 국가변란을 노리는 폭력과 파괴를 의미하는 것이라는 추궁을 받았단다. 참, 개가 웃을 일이다.
이 책을 읽고 나는 우리 집 거실에 걸린, 신영복의 필체로 쓰여진 <여럿이함께-여럿이함께가면험한길도즐거워라>액자를 한참 쳐다보았다. <여럿이함께>는 우리 집 가훈이 되었다. 신영복의 필체는 강직하면서도 부드럽다. 그의 글체는 그가 어떤 사람인지 보여준다. 그는 처음보는 아이들과 자연스럽게 말을 틀줄 알고, 배려하며 끌어주고, 미안해하는 사람이었다.
청구회 추억 덕분에 나는, 청구를 추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