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빨강 - 제11회 사계절문학상 대상 수상작 사계절 1318 문고 87
김선희 지음 / 사계절 / 201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이 주는 궁금증이 무엇보다 컸던 책이다. '더 빨강' 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일지 궁금했다.

이 책을 읽은 요즈음 나는 사람들의 수많은 걱정거리에 관심이 있었다.

지금 내가 안고 있는 걱정들이 얼마나 비중이 있는 것일까~ 하는 생각?

각자에게는 작든 크든 현재 안고 있는 고민들이 가장 절실하고 애끓는 것들이겠거니 싶으면서도 내가 안고 있는

걱정들이 아주 사소한 것이라는 생각이 들어 훌훌 털어버리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는지도 모르겠다.

그래서인지 이 책을 읽으면서 사람들이 살고 있는 모습들속에 더 빠져들게 되었는지도 모른다.

 

 

사고로 일곱 살 아이가 되어버린 아빠를 보살피며 살아야 하는 가족이 있다.

다치기 전에는 결코 다정한 말한마디, 배려하는 마음을 느껴본적 없는 무뚝뚝한 아빠였는데, 일곱 살 아이처럼 되어 버린

아빠를 가족들은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 막막하다.

18살 작은 아들은 집에서 아이가 되어버린 아빠를 돌보며 답답한 일상을 보내던중 한 소녀를 알게되고 그 소녀가

운영하는 카페에 가입하게 된다.

그 카페 이름이 "더 빨강"

왜 그런 이름이었을까? 매운 맛에 집착하는 아이들이 만든 카페이다.

사람들은 스트레스가 심해지면 매운 음식이 먹고 싶다고들 한다.

이 카페의 아이들도 마음속에 심한 응어리가 있어 풀리지 않는 갈등을 매운 음식을 통해서 풀어내고 있다는 느낌을 준다.

 

 

책이 좋은 이유는 책속의 주인공들은 내가 처한 현실보다 훨씬 더 처절하고 힘든 상황속에 살고 있기도 하다.

만약에 그들이 모두 좌절하고 삶을 포기하거나 쉽게 생각해 자신을 마구 내던져버린다면...현재를 살고있는 우리가

더 힘들게 느껴지지 않을까 싶다.

다행이도 책속의 주인공들은 희망을 볼줄 안다. 더이상 희망이 없을것 같은 삶 속에서 그들은 실낱 같은 희망을 본다.

밤마다 야동을 보며 뜨거운 욕망속에서 허우적대던 소년은 그 많은 야동들을 컴퓨터에서 지어내고,

어린아이로 돌아간 아버지는 어쩌면 근엄한 아버지였을때 보여주지 못한 가족 사랑을 이제서야 보여주는지도 모르겠고,

매운 맛을 찾아 다니며 화풀이를 하는 것 같던 아이들도 조금씩 새로운 희망들을 보게 된다.

죽고 싶은 이유보다 죽지 않아야 할 이유가 더 많은 것이 얼마나 다행인가~말이다.

 

책속의 소녀 미령이 삶이 지루하거나 앞날이 불투명 유리처럼 뿌옇거나 누가 다리를 걸어 넘어뜨려 주었으면 하는 날에는 어김없이

매운맛이 땡긴다고 했다. 왠지 공감이 간다.

나도 가끔은 그런 날이 있으니 말이다.

머릿속까지 빨갛게 달아오를 것 같은 매운맛, 그렇게 삶을 이겨내고자 하는 사람들의 모습이 담겨있는 '더 빨강' 이었던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