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이라는 병 - 가장 가깝지만 가장 이해하기 힘든… 우리 시대의 가족을 다시 생각하다
시모주 아키코 지음, 김난주 옮김 / 살림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족'을 떠올리면 제일 먼저 희생이라는 단어가 생각난다. 자라면서 부모를 보면서 느꼈던 것도 당신들의 삶은 포기하면서도 오로지 자식들을 위해 살아가는 삶을 보며 희생을 배웠고, 형제자매 간에도 누구를 위해 누구는 희생한다는 것은 너무나 흔했다. 그래서인지 결혼 후 나 또한 알게 모르게 희생을 당연하게 받아들이게 되었다. 아이 양육을 위해서 일찌감치 꿈을 포기했고, 가족을 위한다는 명목하에 가족의 평화를 추구하는 것은 옳은 선택이었다며 안위하기도 한다. 늘 당연하다고 여기던 것에 대해 새삼 '가족'이란 대체 무엇인가!라고 질문을 던질 리 없었다. 화목하고 행복한 가정을 이루고 가족 모두 건강하게 지낼 수 있다면 포기나 희생쯤 당연한 거였다. 지금 이 순간에도 개인의 욕망은 꼭꼭 숨겨둔 채 가족의 일원으로서 응당 해야 할 의무들을 순차적으로 해나갈 뿐이다. 언젠가 가족 간의 갈등이 생기면 폭발할지도 모르는 시한폭탄을 안고 오늘도 살고 있다.

그래서 시모주 아키코의 <가족이라는 병>은 조금은 낯선 화두였는지도 모르겠다. 가족 간의 일은 받아들이고 수용하는 것이지, 까발리고 비판하고 날카롭게 바라봐야 하는 것이 아니라는 고정관념에 기인했던 것 같다. 존속범죄라도 일어나면 가해자는 공공의 적이 되어 모든 화살을 다 맞아도 아무렇지 않은 것이 우리 사회의 당연한 모습이었다. 때문에 왜 가족이 병이지, 하고 기존 생각의 틀을 원점으로 돌리고 생각하는 것 자체가 힘들었던 것 같다. 가족은 사회를 형성하는 최소한의 단위라는 개념에서 비추어 본다면 가족이 흔들리면 그 사회는 흔들릴 수밖에 없다. 패륜을 저지르는 존속범죄가 늘고 가족의 해체가 만연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는 사회를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 것인지 묻게 된다. 가족이 최소 단위이기 이전에 한 개인의 삶을 기본으로 하는 진정한 가족의 의미를 찾아야 한다고 저자는 말한다. 한 개인의 삶이 중심이 될 때 가족의 형태는 반드시 혈연관계여야 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가족이란 형태의 문제가 아니라 소통하고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의 문제라는 것이다. 혈연관계를 중심으로 하는 가족의 붕괴가 사회문제의 중심이 된 가운데 진정한 의미의 가족에 대한 논의는 현대 사회에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태어나는 순간 혈연으로 맺어지는 가족이라는 사회적 관계망 안에 놓이는 수동적인 삶에서 응당 존중받아야 하는 소중한 개인의 삶으로서 인정해주어야 한다는 것이 이 책에서 저자가 말하고 싶었던 것은 아닌가 한다. 나이 서른이 넘어서도 결혼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직업이 없다는 이유로 부모 밑에서 부모가 차려주는 밥을 먹고 여전히 부모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청년들이 늘고 있는 현실을 떠올리면 지금 부모나 자식들의 삶이 어디에 머물러 있는지를 돌아보지 않을 수 없다. 언제까지나 부모 그늘에 머무를 수 없다. 함께 함으로써 서로의 삶을 피폐하게 하고 상처를 줄 뿐이다. 스스로의 삶에 책임을 질 수 있는 삶, 사회적 동물이기 이전에 개인으로서의 독립적인 삶에 대한 성찰이 필요한 것이다. 가족 구성원 개개인의 삶을 생의 출발선 상에 놓고 각자의 삶을 책임지고 살아갈 때 나의 삶이 보이고 가족의 삶이 비로소 보이게 된다. 마음의 소통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가족은 서로에게 짐이 되고 상처가 될 뿐이다.
"한쪽이 병을 앓으면, 다른 한쪽이 보살피는 것은 당연한 의무다. 무슨 일이 생기면 상대를 배려하고 돕는 것이 가족이다. 진정한 가족은 핏줄로 이어진 가족을 뛰어넘는 곳에 존재한다." (본문 174쪽) ​
여전히 가족 하면 부양의 이미지가 강한 한국 사회에서 저자가 말하는 병으로서의 '가족'은 불편할 수는 있겠지만 생각해볼 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가족을 부양해야만 했던 사회도 변했고, 각자의 가치관도 달라진 세상에 여전히 우리는 가족 부양 의무라는 잣대로 가족을 평가하고 있지는 않은지 우리 사회를 돌아봐야 한다. 가족이 반드시 혈연관계로 이루어져야 할까. 결혼과 동시에 뿔뿔이 흩어진 가족들은 어느샌가 전화로 안부를 묻고 소식이 없으면 없는 대로 잘 살고 있겠구나 싶다. 그 가족의 빈자리를 친구나 이웃이나 공동체에서 만난 사람들과 정을 나누고 교감하며 채워가고 있다. 알게 모르게 우리 또한 새로운 형태의 가족을 만들어 가고 있는 것이다. 결혼이 상식적이던 사회는 변해 어느덧 '나 홀로 가족'도 늘어 새로운 가족의 형태는 현재진행형이다. 앞으로 많은 변화가 감지되는 이 시대에 진정한 가족은 무엇인지 스스로에게 묻고 답을 찾아야 할 때이다.
책을 읽다 보면 자연스레 스스로에게 묻게 된다. 나에게 가족은 어떤 의미인가 하고. 솔직히 말해 내가 생각하는 가족은 이 책의 저자와 생각을 같이 한다. 차이가 있다면 저자는 생각한 대로 실천하며 살고 있다는 것이고 나는 가슴에만 품고 어쩌지도 못하고 문제가 많은 가족과 함께 살아가고 있다. 이 책의 시작은 가족의 진정한 의미에 대해 논하고 있지만 끝은 가족의 해체가 아니다. 가족이 굴레가 되어버렸다고 해서 가족을 당장 버리라는 것이 아니다. 어쩌지도 못하는 가족의 굴레에서 각자 벗어날 수 있는 유연한 사고가 필요함을 어필하는 것이다. 자신을 알고 가족 구성원에 대해 알고 이해한다면 진정한 의미의 가족이 될 수 있다고 말한다. 우리 인생에 정답은 없다. 하지만 행복한 방법을 찾아 스스로 설계할 선택권은 가지고 있다. 그 선택권을 제대로 발휘해야 한다고. 그 책임은 가족이 아니라 스스로에게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