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변화는 미래가 아니라 당장 눈앞에 닥친 비상사태다. 그런데도 우리는 비상사태에 적절한 대응을 하지 않고 있다. 파리 기후변화협약은 온도 상승을 섭씨 2도 이하로 억제하자고 약속했다. 2도 억제는 결코 무모한 목표가 아니다. 2009년 코펜하겐에서 2도 억제를 목표로 정하자는 이야기가 나왔을 때, 아프리카 국가들을 대표하는 많은 이들이 〈사형 선고〉라며 이를 규탄했다. 저지대에 위치한 도서 국가들은 〈1.5도가 생존선이다〉라는 표어를 내걸었다. 그 덕분에 마지막 순간에 파리 협약에는 모든 나라들이 〈온도 상승을 1.5도 이하로 억제하기 위해 노력한다〉라는 구절이 추가되었다.
그러나 이 말은 구속력이 없을 뿐 아니라, 거짓 약속이다. 실제로 우리는 그런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 않다. 이런 약속을 해놓고도 많은 정부가 더 많은 프래킹 유전을 만들고 지구상에서 탄소 함유량이 가장 높은 화석연료인 타르샌드를 캐내는 일에 혈안이 되어 있다. 이런 추세가 계속된다면 1.5도 이하는커녕 2도 이하 억제 목표조차 이룰 수 없다. 어째서 이런 일이 벌어지는 걸까?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국가에서 살아가는 가장 부유한 사람들이 자신의 신상에는 아무런 문제도 닥치지 않을 거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가장 큰 위험은 자기가 아닌 다른 사람에게 떨어질 것이고, 설사 기후 변화의 영향이 목전에 닥쳐오더라도 자기만큼은 틀림없이 보호받을 거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나우루는 해수면 상승으로 물에 잠길 위험이 높은 태평양 군도 중 하나라는 점에서 또 다른 상징성을 지닌다. 나우루 국민들은 지금은 자국이 다른 사람들을 가두는 수용소로 변해 가는 걸 지켜보고 있지만, 머지않아 자기 나라를 떠나야 하는 처지가 될 가능성이 높다. 오늘은 난민을 감시하는 경비원이지만, 내일은 기후 난민이 될 것이다.
우리는 나우루에서 지금 벌어지는 일도 앞으로 벌어질 일도, 역시 동일한 논리에서 파생된 결과임을 알아야 한다. 유색인들의 생명을 가볍게 여기는 문화, 그들이 파도 밑으로 사라지건 수용소에 갇혀서 분신을 하건 모른 체하는 문화라면 유색인들의 나라가 통째로 바다 밑에 가라앉건 가뭄과 폭염에 파탄이 나건 아랑곳하지 않을 것이다. 이 끔찍한 결정을 합리화하기 위해서 인간을 서열화하는 이론과, 사람은 자기 자신을 가장 먼저 챙겨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론과, 난민은 〈우리의 삶의 방식〉을 파괴할 거라고 주장하는 이론이 총동원될 것이다. 이런 합리화는 이미 비공개적인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기후 변화는 궁극적으로 모든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겠지만, 당장은 사람을 가려 가며 공격한다. 기후 변화는 가장 먼저 가난한 사람들에게 가장 심한 충격을 입힌다. 허리케인 카트리나가 뉴올리언스를 공격했을 때 가난한 사람들은 지붕 위에 고립된 채 외면당했고, 남아프리카와 동아프리카에서 발생한 극심한 가뭄은 가난한 사람들 3600만 명(유엔 자료)을 굶주림으로 몰아넣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